호남지역, 원전·태양광 등 몰려있어…경부하기 전력 남아수도권 보내기도 어려워…호남권 송전선로 2개 뿐호남-수도권 연결 송전선로, 서해안 건설 방안도
  • ▲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연합뉴스
    호남지역의 원전·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많지만 이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송전선로(전력공급 선)가 부족함에 따라 정부가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한국전력‧전력거래소 등 공기업‧공공기관, 민간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전력망 혁신 TF'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력계통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구성해 운영해왔다.

    하지만 전력계통의 현안이 재생에너지 확대와 관련된 이슈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에 대한 안정적 전력공급 등으로도 확대되는 등 복잡‧다변해지면서 산업부는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전력망 혁신 TF'로 확대 개편했다.

    이날 회의에선 경부하기의 중요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전력계통의 운영이 녹록지 않은 것을 감안해 전력망 보강 수요를 최적화하기 위한 발전원과 수요 지역 분산 등을 논의했다.

    현재 호남지역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돼있어 경부하기에 전력이 남는데, 이를 전력수요가 높은 수도권으로 보내기가 힘든 상황이다. 해당 지역을 연결하는 송전선로가 극히 부족해 계통 불안정성이 발생하고 있다. 송전선로는 신옥천-세종, 청양-신탕정 등 2개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송‧변전설비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가 송전선로 건설에 부정적인 것을 감안해 서해안의 해상을 활용해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아울러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1단계(2025년 6월), 2단계(2026년 6월) 건설을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해당 설비 준공시점까지 발생할 수 있는 송전제약을 완화하기 위한 계통안정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향후 전력망 보강 수요는 대폭 증가하지만 한전 재무상황, 사회적 수용성 등 전력계통을 둘러싼 대내외적 여건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는 전력망 투자를 최적화하는 한편, 송‧변전설비 건설이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그간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정책을 조만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