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수소 활용 시장 규모, 2050년 약 1조 달러 성장 전망
  • 우리나라가 1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수소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수소환원제철 등 산업 부문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예산과 지원 분야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수소 활용 시장 규모는 오는 2050년 약 1조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소 활용 시장 중 수소차·선박 등 수송 수단 시장이 약 7000억 달러로 최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신에너지금융연구소(BNEF)는 2050년 수소 수요량이 13억7000만톤에 이르며 그 중 철강과 석유화학 등 산업용으로 활용되는 수소가 37%(5억2000만톤)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국내 주요 연구개발(R&D) 예산 중 산업부문 수소 활용 관련 예산은 발전과 수송 부문과 비교해 규모와 종류가 적은 상황이다. 특히 산업부문 탄소중립 공정 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시작된 탄소중립 산업핵심 기술개발사업 예산은 당초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6조5662억원에서 86% 삭감된 9352억원에 불과했고, 이마저 철강 부문에 집중되고 있다.

    예산이 대폭 줄어드는 과정에서 수소환원제철 관련 기술인 '분광수소 유동환원 공정의 실증사업'과 '수소환원-신 전기로 연속 신공정 기술개발' 등 실증분야 예산이 삭감돼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산업 부분의 수소 활용도 제고를 위해 연구개발(R&D) 예산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포함해 시멘트 등 추가 다른 업종의 수소에너지 전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높은 수소차 시장 점유율에도 불구, 충전 인프라가 미흡하고 충전 설비 설치에 대한 지역 주민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수소차 보급률이 정책 목표를 크게 밑돌고 있다. 수소 충전 요금에 대한 부가가치세 한시적 면제와 수소차 운영비용에 대한 혜택 지원을 통한 수소차 보급 활성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황준석 무협 연구원은 "수소 활용 시장 확대에 따라 우리나라도 수소 인프라 투자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며 "수소 활용도를 높이려면 수소 에너지의 필요성과 안전에 대한 국민 인식 확보를 바탕으로 분야별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