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 아시아나항공 이사회서 ‘화물사업 매각’ 논의전 사장단 ‘국부유출·본원전 경쟁력 약화’ 이유 합병 반대‘독자 생존’ 대안은 없어…무책임한 주장에 설득력 약화
  • ▲ ⓒ대한항공
    ▲ ⓒ대한항공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분수령이 될 아시아나 이사회 개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前) 아시아나 사장단이 합병 반대 입장을 내 자격 논란이 일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경영난에 일부 책임을 져야 할 경영진이 회사 회생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는 오는 30일 오후 2시 이사회를 열고 화물사업 부문 매각 여부를 논의한다. 이사회가 화물사업 매각 여부를 결정키로 한 것은 유럽연합(EU)가 양사 합병에 따라 유럽 화물노선의 경쟁제한 우려가 있다며 시정조치를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대한항공은 이달 말까지 유럽 4개 도시(프랑크푸르트·바르셀로나·로마·파리)행 슬롯 반납과 화물분리 매각계획을 포함한 시정안을 EU 집행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EU가 대한항공의 유럽 여객노선 배분만으로는 독점 우려를 해소하기 부족하다고 보는 만큼 아시아나 화물사업부 매각을 시정안에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매각은 아시아나 이사회의 승인 사항으로, 이사회 통과 여부가 최대 변곡점으로 떠오른 상태다. 대한항공은 현재 14국 중 11국에서 기업결합 승인을 받았고, EU·미국·일본 결정을 남겨두고 있다. 만약 아시아나 이사회가 화물사업 매각을 거절한다면 EU 문턱을 넘지 못하고 합병이 좌초될 가능성이 크다.

    ‘메가 캐리어’ 탄생의 운명을 가를 아시아나 이사회 개최를 앞두고 전임 아시아나항공 사장단이 매각 반대를 촉구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박찬법 회장, 윤영두 사장, 김수천 사장, 한창수 사장 등 전직 최고경영진 4인이 최근 이사회에 “화물사업 분사(매각)안을 부결해달라”고 요청하는 서한과 관련 자료를 보낸 것.

    이들은 서한에서 ▲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을 회생 불가기업으로 인정받아 각국의 규제를 피할 수 있다는 잘못된 전제에서 인수합병을 추진했고 ▲각국 규제당국의 합병 승인조건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인한 피해가 아시아나에 귀속되고 있다며 ▲특히 핵심 사업영역인 화물사업의 분사 추진은 계속 생존에 치명적 결과를 초래해 아시아나를 고사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별도로 낸 A4용지 6장 분량의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합병의 문제점’이라는 자료에서 ▲국내 항공산업 경쟁력 치명적 손상 및 국부유출이 우려되며 ▲인수합병 장기화로 아시아나의 본원적 경쟁력이 고갈되고 있고 ▲코로나19 극복 시 보여준 역량으로 아시아나가 독자 생존할 수 있다고도 했다.

    전임 사장단의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가에 의구심이 일고 있다. 이들 모두 아시아나의 전임 주요 경영진으로서 회사가 심각한 경영난에 빠지며 매물로 나온 데 대한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데, 반대 이유로 든 ‘국부유출’, ‘본원 경쟁력 고갈’ 등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쟁 제한 해소를 위해 반납되는 일부 운수권의 경우 우리나라 국토부에서 추후 운수권 배분 절차를 통해 ‘국내 항공사’로 재배분될 것이어서 국부유출과 무관하다”며 “아시아나가 2021~2022년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당시 화물사업 호황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며 그 전부터 이미 지속적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전임 사장단이 대한항공과의 합병을 반대하면서 대안으로 제시한 ‘제3자 매각’도 성사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낮아 무책임한 주장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 아시아나항공이 생존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대한항공과의 통합에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올 6월 말 기준 아시아나의 총부채는 12조515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741.3%에 달한다.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등에 따른 항공업계의 영업환경이 악화 중인 점에 비춰 독자 생존을 장담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제3자 매각이 불가피한데, 새 주인을 찾는 과정 또한 험난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는 모두 6인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4명의 찬성표를 얻어야 이사회 통과가 가능하다. 사내이사에는 원유석 대표와 진광호 안전보안실장이 올라 있으며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배진철 전 한국공정거래조정원 원장, 윤창번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강혜련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 등이 사외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