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DB 기반 경계성 인격장애 임상적 특성 국내최초 연구여성·20대·서울지역서 발병률 높아 질환 특성 탓 자살 위험·사회적 부담 가중석정호 강남세브란스 교수팀 "진단율 향상 시급"
  • ▲ ⓒ강남세브란스병원
    ▲ ⓒ강남세브란스병원
    국내 인구 1만명 당 1명이 자살 위험과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 질환인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단 수면 아래 숨겨진 환자들이 더 많을 것으로 보여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성 인격장애(BPD)란 정서적 불안, 자아정체성 문제, 대인관계 등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를 일컫는다.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인다. 

    2일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교수팀은 최근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을 국가 데이터베이스(DB)를 기반으로 연구해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재됐다.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된 국내 환자 수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약 1.2배 증가했다. 

    남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년 0.81명에서 2019년 0.80명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여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년 1.12명에서 2019년 1.32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20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유병률이 1만명 당 8.7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전(6.62명)과 대구(5.90명)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 유병률은 다른 국가의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2.7%~5.9%)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국내 유병률의 과소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석정호 교수는 "보험청구자료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경계성 성격장애의 낮은 국내 유병률은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매우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진행돼야 한다"며 "자살 위험성과 의료적 부담이 큰 질병임을 고려할 때 인식 개선과 국가적 차원의 제도 개선, 예산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게 되면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고 대인관계가 불안정해진다. 특히 환자의 약 60%~80%는 자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사회적 부담이 높은 질병이다. 

    국내에서는 해외와 같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완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