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확신 가질때까지 테스트 지속 계획"크루즈·웨이모 등 레벨3 어려움 겪고 있어레벨3부터 제조사 책임, 법적 문제 해결 필요
  • ▲ 송호성 기아 사장이 지난달 12일 열린 EV 데이에서 자율주행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 송호성 기아 사장이 지난달 12일 열린 EV 데이에서 자율주행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등 자동차 주요 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대해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기술적인 어려움 외에 법적, 제도적인 문제가 남아있는 데다가 시간이 걸리더라도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자율주행 3단계 기술 개발 및 안정화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당초 지난해 하반기 제네시스 ‘G90’ 부분변경 모델에 레벨3 자율주행 기술인 HDP(Highway Driving Pilot)를 적용할 예정이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올 상반기로 연기했다. 

    올해 3월 ‘2023 G90’이 출시됐지만 HDP 기능은 빠졌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기아 ‘EV9’에도 해당 기술을 적용하려 했지만 역시 보류됐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지난달 열린 ‘EV 데이’에서 “레벨3 자율주행 도입이 예상한 것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면서 “운전자 안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100% 확신을 가질 때까지 테스트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레벨3 자율주행과 관련 어려움에 놓였다.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크루즈’는 지난달 24일 무인 로보택시 운행을 중단했다. 

    크루즈 로보택시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구급차, 소방차의 운행을 방해하거나 뺑소니를 당한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끌고 가는 사고가 발생해서다. 이로 인해 카일 보크트 크루즈 CEO는 최근 사임했다. 
  • ▲ 웨이모가 과거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선보인 모습. ⓒ연합뉴스
    ▲ 웨이모가 과거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선보인 모습. ⓒ연합뉴스
    구글에서 분사한 자율주행업체 ‘웨이모’는 올해 두 차례 구조조정에서 200여명을 해고했고 지난달에도 세 번째로 소규모 인력 감축을 단행했다. 

    지난해 말에는 포드와 폭스바겐에서 대규모 투자를 받았던 자율주행 업체 ‘아르고 AI’가 폐업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받던 아르고 AI의 폐업은 업계에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 

    벤츠, BMW, 테슬라 등이 레벨3 자율주행 상용화를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이들 업체들의 기술도 아직까지 완벽하지는 않다는 평가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벤츠와 BMW의 레벨3 자율주행 기술은 날씨, 지역 등 운행조건의 제한으로 효용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이어 “테슬라의 FSD(Full Self Driving)의 경우 일론 머스크 CEO가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FSD를 레벨3으로 규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면서 “레벨3부터는 시스템이 운전 주체가 되면서 사고 발생 시 시스템을 만든 제조사가 책임을 지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자동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관련해 속도를 늦추더라도 방향은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레벨2 기능(차선 유지 보조, 앞차와의 간격 유지 등)들은 운전자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되면서 더 심화된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 지난해 말, 올 상반기 모두 G90에 HDP 기능이 적용되지 않았다. ⓒ현대차그룹
    ▲ 지난해 말, 올 상반기 모두 G90에 HDP 기능이 적용되지 않았다. ⓒ현대차그룹
    게다가 자율주행 관련 부품들이 점차 신차에 채택이 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운전자들의 사고 증가도 자율주행이 필요한 요인으로 거론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법적, 제도적 문제가 해결되면 레벨3 이상의 기술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레벨2까지는 운전자가 항시 주행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 하지만 레벨3에서는 운전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불필요하며, 시스템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거나 추월을 할 수 있다. 

    레벨4에서는 운전자가 출발 전에 목적지와 이동 경로만 입력하면 되며, 수동 운전으로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시스템이 안전하게 자율주행을 해야 한다. 

    정구민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는 “레벨3부터는 사고 발생 시 제조사의 ‘책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속도로와 달리 도심지역 자율주행은 더욱 어려운 영역”이라면서 “현재 자율주행 기술 발전의 과도기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문학훈 오산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도 “예상보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시간이 소요되면서 2030년에도 레벨5 달성 여부가 불투명하다”면서 “완전 자율주행이 되려면 자동차와 자동차 간(V2V) 교통정보 공유, 교통시스템과의 연계 등이 필요한데, 결국 관련 법안 등 제도적인 해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