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물떼기·논물 얕게 걸러대기·바이오차 투입 등 지원탄소감축 효과 크고 단지화 가능한 농업법인·단체 선발일부 생산량 저하 우려… "신기술에 대한 불안한 마음 탓"
  • ▲ 농림축산식품부. ⓒ뉴데일리DB
    ▲ 농림축산식품부. ⓒ뉴데일리DB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 관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탄소중립 프로그램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참여 농가에 활동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저탄소 농법을 사용했을 때 이전보다 작물 생산량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없잖아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15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탄소중립 프로그램 시범사업은 논물관리·바이오차 농경지 투입 등 저탄소 영농활동을 하는 농가에 활동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이달 22일부터  다음 달 23일까지 대상자를 모집한다.

    중간물떼기 시행농가는 ㏊당 15만 원, 논물 얕게 걸러대기는 ㏊당 16만 원, 바이오차 농경지 투입은 ㏊당 36만4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중간물떼기는 뿌리를 건전하게 하기 위해 이삭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논바닥이 갈라질 정도로 물떼기하는 것을 말한다. 모내기 이후 한달부터 2주 이상 용수공급 중단해 배수로를 열어 논을 마른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참여 농가는 중간물떼기 시작·종료시기에 필지 내 배수로 개방 또는 논바닥이 말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을 각 1회 촬영하고 이를 제출해야 한다.

    논밭 얕게 걸러대기는 중간물떼기 이후 논물을 2~5㎝ 얕게 관개 후 자연적으로 말리고 다시 얕게 대기를 이삭이 익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3~5일 간격으로 4회 이상 반복해야 활동을 인정받을 수 있다.

    농식품부는 논물관리 효과에 대해 "토양에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물을 가둬둘 때 생기는 메탄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다"며 "토양 중 각종 유기산을 배제해 벼 뿌리 활력 증진에 의한 양·수분 흡수를 증대할 수 있고 뿌리 지상부 조직을 강건히 해 쓰러짐 저항성을 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농작물 잔사 △왕겨 △목재 △가축분뇨 등을 산소가 제한되고 350℃ 이상인 상태에서 열분해해 제조한 물질이다.

    기존 연구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바이오차 적정 투입량은 ㏊당 1~3t으로 이번 사업 투입기준인 200㎏/㏊로는 작물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농식품부 설명이다.

    올해는 시범사업 단계로 소속 농업인·농업법인 소유 필지를 포함 50㏊ 이상 단지화가 가능한 농업법인 또는 생산자 단체를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탄소감축 효과가 크고 참여 농업인 수가 많은 농업인단체를 우선 선발할 방침이다.

    동일하게 50㏊를 경작하는 단체가 있으면 50명이 1㏊씩 경작하는 경우 2명이 25㏊씩 경작하는 경우보다 우선적으로 선발될 수 있다. 지원대상은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송지숙 농촌탄소중립정책과장은 "탄소중립 프로그램에 농업인들이 적극 참여해 건강한 지구 만들기에 동참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후위기 대책으로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관심사로 대두된 가운데 정부는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지난 2021년 발표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저탄소 농업구조 전환 △화석에너지 사용 축소와 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골자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상 농업부문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2470만t 대비 27.1%를 2030년까지 줄여야 한다. 이 때문에 저탄소 농법은 농업의 주요 패러다임 전환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일각에서는 저탄소 농법이 작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 경우 농가의 참여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바이오차 투입의 경우 적정 투입량을 넘게 되면 토양의 pH를 높여 작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이오차 적정 시용량 설정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런 우려를 일부 인정하면서도 저탄소 인증으로 인한 이점이 더 크다는 의견이다.

    구현구 포천사과영농조합법인 대표이사는 "저탄소 농법으로 생산량이 조금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도 "유기질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상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 대표는 저탄소 농법으로 인한 효용감이 더 크다는 입장을 내놨다.

    구 대표는 "최근 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비가 자주 오고 병충해가 많아지는 등 기후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것은 농사짓는 입장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저탄소 농법으로 인한 상대적 노동력 증가나 초기 투입비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기후위기에 공여하고 저탄소 인증을 받은 작물을 재배하는 효용감이 더 크다"며 "이는 사과 뿐만 아니라 벼라든지 작물을 막론하고 농민들이 갖고 있는 공통된 마음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생산량 감소와 같은 우려는 정책이 연착륙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경민 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는 "농민들이 수매량이 떨어져서 이전보다 수입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는 신과학기술에 대한 불안한 마음 때문일 것"이라며 "개발하고 있는 농법과 품종 면에서 이전보다 생산량이 줄어든다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관리를 자동화 하기 위해 필요한 일부 기계설비의 경우도 정부가 연구개발을 많이 해 단가가 떨어져 있는 상황"이라며 "효용가치가 얼마나 되는지와 내구연한에 따른 유지비 등 문제는 있지만 관련한 투입 비용도 그다지 크지 않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