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인도 투자·수출, 전체의 1~2%에 그쳐상의 포럼에 100여개 기업 관심전문가들 "인센티브 활용한 투자 다각화 필요"
  • ▲ 인도 및 주교국 주요 경제 지표(좌), 한국의 해외투자 및 대인도 직접투자 현황(우). ⓒ대한상공회의소
    ▲ 인도 및 주교국 주요 경제 지표(좌), 한국의 해외투자 및 대인도 직접투자 현황(우). ⓒ대한상공회의소
    "인도 정부가 반도체 진흥 정책에 힘을 쏟고 있으며 한국과 반도체 분야 경제 협력과 투자 활성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성우 대한상공회의소 국제본부장이 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공동 번영을 위한 한-인도 산업협력'을 주제로 열린 한-인도 산업협력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산업연구원, 주한 인도대사관과 공동으로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영원무역, 크래프톤 등 인도 진출 기업과 인도 정부 관계자, 산업 전문가 등이 참여해 인도 시장 진출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본부장은 "인도는 지난 20년간 연평균 10% 가까운 경제 성장 거듭했다"면서 "외국인 투자도 매년 약 23%씩 늘면서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지만, 인도의 잠재력에 비해 한국의 인도 투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고 했다.

    이어 "오늘 이 행사는 인도의 반도체 생태계 구축 등 유망 분야에 대해 살펴보는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인도 정부는 1조2500 루피(약 20조원) 규모의 반도체 디자인, 제조, 기술개발을 위한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3개의 반도체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인도 정부가 13조원의 보조금을 내걸었고 마이크론, PSMC 등의 회사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대규모 반도체 생태계가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 ▲ 이성우 대한상공회의소 국제본부장. ⓒ박지수 기자
    ▲ 이성우 대한상공회의소 국제본부장. ⓒ박지수 기자
    인도에 가장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꼽힌다. 삼성전자는 인도에만 4개의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인도는 AI 관련 전공자의 층이 두터운 데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해 삼성전자도 인도 공략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도체 연구개발(R&D) 강화에 힘쓰는 모습이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인도법인(SSIR)은 올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연구개발(R&D) 조직을 신설했다.

    지난달 초에는 인도 벵갈루루에 두 번째 반도체 R&D 센터를 개설하기도 했다. 인도공과대와 KLE기술대 등 현지 대학과 협력해 고급 반도체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류경윤 삼성전자 노이다 연구소장은 "인도 전국에 있는 23개 국립공대인 IIT 중에서도 10위권에 속하는 톱티어 학생들이 이곳에 입사한다"고 했다.

    한종희 부회장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의 체험 스토어 '삼성BKC'를 처음으로 직접 방문해 AI를 탑재한 프리미엄 가전 제품을 점검하기도 했다.
  • ▲ 삼성전자 인도 노이다 공장. ⓒ뉴시스
    ▲ 삼성전자 인도 노이다 공장. ⓒ뉴시스
    아울러 인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인도의 투자 인센티브와 규제 등 정책 환경에 대한 선제적 파악이 필수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박병열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전체 수출의 2%에 불과하다"며 "인도의 정책 환경에 맞춘 투자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인도 정부로부터 꾸준한 투자 요청을 받아 인도에 12개 공장 설립 계획을 갖고 있는 의류업체 영원무역의 이민석 사장은 "인센티브를 지혜롭게 이용하는 것뿐 아니라 규제 대응도 중요하다"며 "인도 정부와 단계적으로 협의해 애로사항을 개선하고 있으나 민간기업이 나서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정부 관심을 촉구했다.

    인도 정부 관계자들의 인도 투자 및 정책 환경을 소개하는 시간도 있었다. 스실 칼 인도 전자정보기술부 국장은 "인도는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라며 "2026년까지 3000억 달러 규모의 전자제품을 제조하고 2030년까지 전 세계의 10%인 11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시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전자 부품 생태계 및 공급망 활성화를 위해 직접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새로운 설비투자 연계 제도 신설을 검토 중"이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생태계 개발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재정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