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레이 스완'에 대한 누리꾼들의 관심이 뜨겁다.

     

    이는 미국 뉴욕대 교수인 니콜라스 탈레브의 저서 '블랙스완'에서 따온 용어이다. '블랙스완'은 발생할 학률은 아주 낮지만 한번 발생할 시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현상을 의미한다.

     

    반면 '그레이 스완'은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 악재이나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위험요인이 계속 존재하는 상태를 뜻한다.

     

    상시적으로 위험이 포진돼 있는 상태이며 발생할 경우 시장에 상당한 타격을 준다. 주로 경제적 요인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주며 주가 등 경제지표 등의 움직임을 좌우한다.

     

    미국 경제전문 매체인 마켓워치는 지난 12월 31일 2015년 금융시장을 뒤흔들어놓을 수 있는 10가지 '그레이 스완'을 선정, 발표한 바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RB)의 정책실수, 국제유가 급등, 유럽 재정위기 재발, 사이버전쟁확산, 유동성 고갈, 신흥시장 위기, 지정학적 불안, 에볼라 재확산, 테러공포 등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이 선정된 10가지 리스크들은 예상은 가능하지만 해결책이 마뜩찮아 '그레이 스완'에 분류됐다.

     

    관련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그레이 스완 예상 가능하지만 해결책이 없다니 속수무책이네", "그레이 스완 블랙 스완과 다소 다르구나", "그레이 스완 에볼라 재확산 두렵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그레이 스완, 사진=SBS CNBC 방송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