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산업 국제화: 방향과 과제' 세미나 개최 "자산운용사 준비 미흡..공격적 전략 필요"
  • ▲ ⓒ금융투자협회
    ▲ ⓒ금융투자협회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의 해외투자 수수료 규모가 연간 1조원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국내 자산운용사는 거의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민연금이 잘못이 아니라 자산운용업계의 잘못이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산업 국제화 방향과 과제' 세미나에서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사진)은 국내 자산운용업계에 대해 대형 연기금의 해외투자를 담당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황 회장은 "향후 30년 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산업을 꼽으라면 휴대폰도 반도체도 아닌 자산운용업"이라며 "국민들이 점점 금융자산을 쌓아가고 있고 전부 자산운용업계를 통해 운용되고 재투자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1000조원에 달하는 국내 금융자산이 2020년에는 1724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자산운용업계의 규모가 커지는 것은 전세계 추세라는 것이다. 즉, 해외투자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그는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준비가 많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면서 "외국 운용사들이 경험이 많은 것은 맞지만, 우리나라 회사들이 연습을 하고 참여를 해야한다"며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액 중 일부를 국내 운용사에 배분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대형 연기금의 해외투자를 국내 운용사가 가져오는 방법을 빨리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황 회장은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국내 현지법인 설립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국내에 법인을 설립할 경우 일단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 관리 하에 놓이게 된다"며 "포트폴리오를 컴프라이언스 등 일부에게만 자료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운용담당자와 교류를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운용하는 포트폴리오를 본사에 보여줄 수 없게 돼 있고, 본사 상품에 대한 마케팅 업무가 금지되는 등 글로벌 네트워크에 대한 근본적인 차단이 이뤄져 있다는 것이다. 

    이에 황 회장은 "한국이 자산운용 허브가 되려면 외국의 유수 자산운용사들이 한국의 현지법인을 차리고 싶어하는 과감성과 공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