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역 신설·교육정책 등 관심사 공약으로 선거 중립 강조에 '공심'은 함구
  • ▲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세종시 신도시.ⓒ연합뉴스
    ▲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세종시 신도시.ⓒ연합뉴스

    이번 제20대 총선에서 세종시는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유권자의 선택이 당락의 향배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여느 때보다 선거 중립의 의무가 강조되며 좀처럼 속내를 드러내기 꺼리는 분위기 속에 행복도시 이주 공무원에 대한 표심 공략도 관심을 끈다.

    정부세종청사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유세에 나선 것은 이해찬(무소속) 후보 측이다.

    이 후보 측은 지난 4, 5일 이틀 연속으로 정부세종청사 앞에 유세 차량을 배치하고 지지를 호소했다. 출근하거나 점심을 먹으러 단체로 이동하는 공무원에게 총리 시절의 동영상을 통해 세종시를 기획하고 추진했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일부에선 부작용도 감지됐다. 5일은 유세 차량이 행복청 건물 주변에 자리 잡았는데 행복청 일부 직원은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이 후보 공약에 행복청과 세종시의 통합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세종시 입장에서 나온 공약이라는 반응이다. 행복청과 세종시는 도시계획·인허가권 등을 놓고 물밑 신경전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후보 측이 정부청사 앞에서 잇따라 유세를 벌인 것은 신도시 유권자 표심 공략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부처 이전에 따른 세종시 근무 공무원 규모는 1만4500명쯤이고 비정규직 근무자까지 포함하면 2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세종시 총유권자 수가 16만7000여명임을 고려하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 세종시로 주소를 옮긴 공무원 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공무원 조직의 특수성과 세종시가 이주 가구의 구성원 수를 평균 2.57명으로 잡는다는 것을 참작하면 공무원 표심을 소홀히 할 수 없는 셈이다.

    이주 공무원은 대부분 신도시에 산다. 신도시는 인구 유입이 늘면서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 수가 8만7000여명을 넘어섰다. 이는 세종시 전체 유권자의 절반을 넘는 규모다.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신도시(한솔동·도담동) 유권자는 2만8명이었다. 2년 새 무려 6만7000명쯤이 늘었다.

    일각에선 KTX 세종역 신설이 쟁점 공약의 하나로 떠오른 것도 서울 왕래가 잦은 이주 공무원을 의식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후보와 박종준(새누리당) 후보는 KTX역 신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박 후보는 아예 부처 공무원의 주된 서울 출장처인 국회를 비롯해 감사원·미래창조과학부·여성가족부·행정자치부 등 잔여 부처를 세종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세종시를 실질적인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야권 후보인 문흥수(더민주당), 구성모(국민의당) 후보는 KTX역 신설은 시기상조라며 반대한다. 오송역이 멀지 않은 만큼 세종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개선해 교통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대신 두 후보 모두 청와대와 국회 이전은 공약에 반영했다.

    각 후보가 앞다퉈 내놓은 교육 관련 공약도 이주 공무원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신도시 교육여건은 부처 공무원이 세종시 이주를 꺼리는 주요 원인이다.

    박 후보는 신도시의 외국계 유명대학 유치, 아름동 지역 초·중학교 설립, 보육시설 확충, 키즈케어센터 설립 등을 공약에 담았다.

    문 후보는 이주 공무원 정착을 위해 교육 명품도시를 만들겠다며 어린이 교육기관 건립을 공약했다.

    구 후보는 학부모가 조합을 만들어 유아교육에 참여하는 공동육아조합을 신설해 부족한 교육인프라에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공무원 반응은 오리무중이다. 어느 때보다 공무원의 선거 중립 의무가 강조돼 남의 구설에 오르지 않으려고 말조심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 공무원은 "선거관리위원회 등에서 공무원의 중립의무를 강조하고 있다"며 "예년 같으면 삼삼오오 모이면 선거 얘기도 했는데 올해는 유독 화제로 삼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