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밭작물 생산량 전년과 유사… 식품 소비패턴이 자급률 증감 좌우쌀 101%, 밀 1.2·옥수수 4.1%… 곡물종류별 자급률 양극화 심화
  • ▲ 쌀 수매.ⓒ연합뉴스
    ▲ 쌀 수매.ⓒ연합뉴스

    지난해 밥쌀 등의 소비는 줄고 가공식품과 육류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영향으로 식량자급률은 2014년보다 0.5% 포인트 상승한 반면 사료용 소비를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0.2%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생산량보다 소비량에 따라 자급률이 좌우된 셈이다.

    곡물종류별 자급률은 쌀을 제외하면 미미한 수준이어서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5 양곡연도(2014년 11월~2015년 10월) 잠정 식량자급률이 50.2%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올랐다고 21일 밝혔다.

    식량자급률은 2011년 45.2%, 2012년 45.7%, 2013년 47.5%, 2014년 49.7%로 상승세다.

    그러나 지난해 식량자급률 상승은 생산 증가가 아닌 소비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국내 식량 총생산량은 481만톤으로 2014년 482만9000톤보다 0.4% 줄었다.

    쌀은 재배면적이 83만3000㏊에서 81만6000㏊로 2.0% 감소했다. 다만 생산량은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0.3% 증가해 424만1000톤을 기록했다.

    밀·보리는 논에 벼를 베고서 다른 작물을 심는 답리작 활성화로 재배면적은 38㏊에서 44㏊로 15.8% 증가했다. 파종기인 10~11월 잦은 강우와 생육기 가뭄으로 생산량은 밀은 17.4% 증가했지만, 보리는 13.6% 감소했다.

    콩은 재배면적은 8만㏊에서 7만5000㏊로, 생산량은 15만4000톤에서 13만9000톤으로 각각 6.3%와 9.7% 줄었다.

    총생산량은 2014년과 유사했지만, 식량자급률이 오른 것은 그만큼 식량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식량 소비량은 958만1000톤으로 2014년 971만9000톤보다 1.4% 감소했다. 가정, 학교 등에서의 밥쌀과 밀가루 소비는 475만4000톤으로 전년보다 1.1% 줄었다.

    반면 가공식품과 육류는 소비가 늘면서 사료용 소비량을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감소했다.

    지난해 잠정 곡물자급률은 23.8%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생산량은 비슷했지만, 사료용 곡물 소비량이 30만톤쯤(2.8%) 늘어서다.

    가공용 식량 소비량은 446만6000톤으로 2014년 432만톤보다 3.4% 증가했다.

    사료용 소비량은 1066만8000톤으로 1년 전 1038만1000톤보다 2.8% 늘었다. 1인당 육류 소비량은 2000년 31.9㎏, 2005년 32.1㎏, 2010년 38.8㎏, 2014년 45.1㎏으로 증가해 사료용 소비를 부채질했다.

    곡종별 식량자급률은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쌀 자급률은 101.0%로 잠정 집계됐다. 2010년 104.6%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했지만, 2011년 83.1%로 급락한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다.

    하지만 밀과 옥수수는 자급률이 각각 1.2%와 4.1%에 그쳤다. 옥수수는 2010년 3.8%보다 0.3%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밀은 0.5%포인트 낮아졌다. 곡물자급률은 더 열악하다. 밀은 0.7%, 옥수수는 0.8% 수준에 그쳤다.

    밭작물 중에선 그나마 콩 식량자급률이 32.1%를 보였으나 곡물자급률은 9.4% 수준에 불과했다.

    농식품부는 자급률이 높은 쌀은 수급 안정, 자급률이 낮은 밭작물은 생산 증대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쌀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적정생산추진단을 꾸려 계획 생산하고 중국 수출을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중국 수출량은 137톤 규모다.

    2012년산 재고쌀 9만9000톤은 지난 2월부터 사료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밭작물은 콩 수매를 확대하고 특히 팥, 녹두에 대해 올해 처음으로 정부 수매를 시행할 계획이다. 콩은 2만5000톤으로 지난해보다 수매량을 5000톤 늘리고, 팥과 녹두는 각각 100톤과 50톤을 수매할 예정이다.

    답리작도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시장개방이 가속하는 여건에서 식량자급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연말까지 2020년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설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