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실적 3.4% 상승 수출은 22% 증가헝가리, 핀란드,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으로 수출 큰 폭 증가생산실적 1위 업체, 제품, 약효군 지난해와 동일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 생산실적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수출 실적이 3조3348억원을 기록해 최근 5년 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2015년 의약품 생산실적은 16조9696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의약품 수출은 29억5000만 달러(한화 약 3조3348억원)로 전년 대비 22% 크게 증가한 반면 수입은 49억4974만달러(5조 6006억원)로 전년 대비 5.1% 줄어 무역적자도 20억248만 달러(2조2658억원)로 29% 감소했다. 

    국내 의약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제약업체가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한 품질향상과 수출활로 개척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정부가 추진하는 수출 지원정책 등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 의약품 생산실적은 16조9696억원으로 완제의약품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14조8560억원, 원료의약품은 전년 대비 1.2% 감소한 2조1136억원을 기록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은 12조4218억원(83.6%), 일반의약품은 2조4342억원(16.4%)이 생산 돼 전문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09년 이후 80%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2015년 국가별 수출은 일본이 4억9577만달러(5609억원)로 가장 많았다. 이어 터키(2억5350만 달러, 2868억원), 헝가리(1억7351만달러, 1963억원), 중국(1억6799만달러, 1901억원), 베트남(1억3866만달러, 1568억원) 등 순이었다. 

    일본은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수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해 수출 3위였던 터키는 2위로 수출 40위 헝가리는 수출 3위 국가로 조사됐다.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헝가리로 전년 대비 1732.2% 증가했다. 스위스(5199만달러, 588억원) 437.3%, 핀란드(4872만달러, 551억원) 191.3%, 프랑스(5118만달러, 579억원) 143.7%, 터키 62.5% 등이 뒤를 이었다. 

    헝가리 등 유럽국가로의 수출증가는 램시마원액 등 바이오의약품 수출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수입 국가별로는 미국(6억7477만달러, 7635억원), 중국(5억7274만달러, 6481억원), 영국(5억5506만달러, 6281억원), 독일(5억4100만달러, 6121억원), 일본(4억5915만달러, 5195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상위 20개국 수입실적이 전체의 95.6%를 차지했다. 

    2015년 국내신약 생산실적은 1587억원으로 전년 대비 45.3% 증가했으며 고혈압치료제 '카나브정'(395억원), 항악성종양제 '리아백스주'(267억원), 당뇨병치료제 '제미글로정'(197억원) 등의 순이었다. 

    인구 고령화로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과 항암치료에 사용하는 국내 신약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생산실적 증가율이 큰 제품은 항악성종양제 '슈펙트캡슐'(369.7%), 간장질환용제 '레보비르캡슐'(287.4%), 항악성종양제 '캄토벨주'(88.4%) 등이었다. 

    국내 개발 희귀의약품의 생산실적은 491억원(18개 제품)으로 전년 대비 56.4% 늘었으며 2012년 이후 생산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어 희귀난치 질환자에 대한 치료기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약사별 생산실적은 한미약품이 2014년에 이어 6145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종근당 6015억원, 대웅제약 5800억원, 녹십자 5410억원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완제의약품은 '퀸박셈주'(914억원)가 전년 대비 8% 감소했으나 1위를 유지했으며 '글리아티린연질캡슐'(769억원), '녹십자-알부민주20%'(754억원)가 뒤를 이었다. 

    원료의약품은 '램시마원액'(3132억원)이 전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으며 '대웅바이오우르소데옥시콜산'(627억원), '에스티팜소포스부비어'(462억원) 등의 순이었다. 

    약효군별로는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항생물질제제가 1조1216억원(전년대비 4.2% 증가)으로 가장 높았으며 혈압강하제(1조533억원), 동맥경화용제(9536억원) 등의 순이었다. 

    식약처는 국제조화를 통해 국내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PIC/S) 회원 가입과 동시에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을 미국, EU, 일본 등과 동등한 수준으로 강화해 국내 생산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있다. 

    의약품 분야 국가 신인도를 높이기 위해 제약 선진국 중심으로 운영되는 '국제 의약품 규제조화 위원회(ICH)' 정회원 가입을 올해 12월까지 추진하고 있다.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멕시코 연방보건안전보호위원회와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을 상호인정하는 내용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으며 일본후생성과도 협력각서(MOC)를 체결해 정부‧협회‧업계가 공동으로 한‧일 연례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해외 인·허가 정보 및 동향, 특허만료 정보 등 의약품 규제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해외 수출 시 국내 제약사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와 공동으로 '의약품 수출지원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손문기 식약처장은 "의약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수출 지원정책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리적으로 규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국제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