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이후 2년 연속 마이너스...국회 “JDC, 수익성 분석 엉터리”
  • ▲ 제주항공우주박물관(JAM) 전경. ⓒ 사진 연합뉴스
    ▲ 제주항공우주박물관(JAM) 전경. ⓒ 사진 연합뉴스

“JDC가 그 동안 우리에게 해 준 게 뭐가 있나?”
“항공우주박물관 사업은 사실상 실패다.”
2014년 개관한 제주항공우주박물관(JAM)에 대해 제주도민들이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도민들은 1,200억원 가까운 돈이 들어간 박물관이,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당초 목표로 한 지역경제활성화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특히 지역언론과 도민사회에서는, 지난 10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공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사업을 추진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사업 시작 전부터 관람객 수요를 부풀린 정황이 드러났다며, 사업시행자인 JDC의 해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민들의 이런 움직임에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인 JDC는 곤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JDC는 “항공우주박물관 사업은 도내 부족한 교육-체험 인프라를 충족시켰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비가 오는 경우 관광객을 위한 체험관광시설로도 유용하다. 수익 측면에서만 바라볼 사업이 아니라고 본다”며 해명에 나섰지만, 한껏 높아진 도민들의 분노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부 도민은 “예래 휴양형 주거단지는 주민들 반발에 송사가 겁쳐 해외 투자자도 외면을 하고 있고, 2조원이 넘게 들어가는 신화역사공원사업도 지지부진하다. JDC가 그 동안 한 게 뭐가 있느냐”며, 노골적인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제주도민들의 호된 비판을 받고 있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사업은, 2008년 7월 합참 공군본부의 제안을 계기로 시작됐다.

당시 공군은 자신들이 보유한 퇴역 전투기 등을 자산으로 삼아 박물관 사업을 추진할 지자체 및 공기업을 공모했다.

JDC는 제주도와 컴소시엄을 구성해, 공군에 제안서를 냈고, 그해 11뤌 최종사업자로 선정됐다. 이후 JDC는 제주도-공군과 3차 협약을 체결한 뒤, 2009년 5월 항공우주박물관 건립 기공식을 열었다.

JDC는 미국 스미스소니언재단과 전시·설계·운영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이 사업 추진에 각별한 공을 들였다.

JDC가 사업추진을 위해 투입한 예산만 1,150억원. 원래 이 사업 예산은 690억원 수준이었으나, JDC가 기본 계획을 변경해 박물관 주변에 복합리조트 등 휴양시설을 짓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크게 늘어났다.

항공우주박물관은 2010년 첫 삽을 뜬지 3년 만인 2013년 12월 공사를 끝내고, 2014년 4월 개관했다.

JDC는 항공우주박물관이 제주도를 대표하는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것이라고 밝히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런 장밋빛 전망은 개관 첫해부터 산산이 깨졌다.

박물관은 개관 첫해 81억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적자는 해가 바뀐 뒤에도 이어져 지난해에는 93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다. 

개관 2년 만에 174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하면서, 박물관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기대는 실망감과 분노로 변했다.

이 박물관은 개관 당시 항공 관련 박물관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부지면적 10만평에 연면적만 9천명에 달했다. 박물관의 규모를 생각할 때, 최근 2년간의 성적표는 너무 초라하다. 

지난 2년간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의 수는 2014년 17만6천명, 지난해 26만5천명에 그쳤다. 관람객 수가 적으니 수입도 빈약할 수밖에 없다. 박물관이 올린 매출은 2014년 20여억원, 지난해 28여억원으로, 2년간 매출을 모두 합해도 50억원이 채 안 된다.

박물관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의 관심을 얻지 못하면서, JDC의 부실한 사업 추진을 비판하는 여론이 들끓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표한 보고서는, JDC와 박물관에 대한 제주도민의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10일 발표한 ‘2015회계연도 공공기관 결산평가’를 통해,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사업은 추진 당시부터 이용객 수를 과다 산정하는 등, 수익성 검토가 부실했다고 평가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사업시행자인 JDC가 충분한 타당성 검토 없이, 사업 계획을 확대·변경해 손실폭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JDC가 사업자 선정 전 공군에 제안한 건설비용은 694억원이었으나, 이후 인근에 휴양시설을 짓겠다며 건설비용을 630억원이나 증액했다.

JDC는 2009년 2월, 총 공사비 1,324억원 규모로 운영계약을 체결한 뒤, 수익성 예측을 위한 외부 용역을 진행했다. JDC가 사업비 증액을 결정한 뒤, 수익성 분석을 위한 용역을 뒤늦게 진행한 점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수익성 예측 용역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1차 용역은 박물관이 첫해 입장권 판매로 19억원, 캠프 운영으로 87억원을 벌어들여, 첫해 57억원이 넘는 순 이익을 낼 것으로 예측했다. 2차 용역은 개관 첫해 총 수익을 40억원 수준으로 전망했다. 나아가 1, 2차 용역은 개관 이듬해인 지난해 63억원, 78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각각 내다봤다.

그러나 박물관은 개관 첫해 81억원, 지난해 93억원 등 모두 174억원의 적자를 냈다. 박물관 수익성 분석이 엉터리로 이뤄졌음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사전 수익성 분석과 180도 다른 결과나 나온 원인으로, 국회 예산정책처는 ‘이용객 수 예측 실패’를 꼽았다.

1, 2차 용역보고서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의 연간 유료관람객을 118만8천명, 91만7천명 수준으로 각각 예측했지만, 실제 같은 기간 유료관람객 수는 17만6천명, 26만5천명에 불과했다. 이용객 수에 대한 그릇된 예측이, 예상 수익을 부풀린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 대한 미래 전망은 더욱 비관적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JDC가 박물관 적자 해소를 위해 검토 중인 ▲위탁운영 혹은 매각 ▲국립 혹은 도립 전환 ▲관람료 인하 ▲국립항공박물관과의 협력 등 대안이 성과를 거두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현실적 대안으로 인근 관광지를 활용한 연계 관광코스 및 특화된 콘텐츠 개발, 운영비용 절감 등을 제시했다.

국회 보고서는 JDC에 대한 조언도 곁들였다. 이 보고서는 “기존 문제점을 인정하고, 일부 손실이 발생해도 공익적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 성격을 재설정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박물관 사업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JDC도 적극적인 해명에 나서고 있다.

JDC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은 지역을 대표하는 교육·체험 시설로, 수익만 놓고 사업성과를 따질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JDC 관계자는 “이 사업은 수익을 내기 위한 투자라기보다는 공익적 측면이 더 강하다”며, 박물관이 가진 공공재적 성격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보고서에서도 나오지만, 적자폭을 줄여나가고 있다. 시간을 갖고 지켜봐 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같은 사안을 바라보는 지역 민심에는 온도차가 있다.

한 주민은 “JDC는 항공우주박물관 사업을 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가 주요 목표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더니 이제 와서 슬그머니 말을 바꾸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주민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사업)은 물 건너갔다. JDC가 추진하는 예래 휴양단지, 신화역사공원 등도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