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 연구·개발(R&D) 규모 증대, 해운·항만·물류 업계 협력 강조온라인 선복 예약 시스템 구축, 자율 운항 선박 개발 등 과제로 제시
-
4차 산업혁명을 맞아 해운업계가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와 한국선주협회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마리타임 코리아(Maritime Korea) 포럼'을 열고 국내 해운사 대표와 노조위원장 등과 함께 해양산업 현안과 4차 산업혁명 대응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은 이날 발표자로 나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해운업계가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4차 산업의 방관자가 아니라 정부와 관련 업계를 함께 끌고가는 주체가 돼야 더 강해진다"고 주장했다. 해운산업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위해서 정부의 지원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업계 스스로가 적극적인 노력에 나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제 22회 바다의 날 기념사'를 통해 해양강국으로 재도약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문 대통령은 "해양·수산 연구·개발(R&D) 비중을 현재 3% 수준에서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수준인 5% 정도까지 높이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양 원장은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안으로 해양·수산 연구·개발(R&D) 규모 증대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5%로 올라간 지원을 잘 활용할 수 있는지는 우리 해운업계의 몫"이라고 말했다. 선박 관련 기술개발에 있어서도 해운업체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해운업체가 기술을 개발하고 조선소가 구현하는 방법으로 우리 해운산업의 세계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양 원장은 해운·항만·물류 업계의 협력도 중요한 사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해운업체는 전문 물류서비스 제공자로서 화주에게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해운 항만 물류 업계가 하나가 돼야한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자율운항선박 개발도 선박만이 아니라 항만과 관제 등 연계된 모든 시스템을 바꿔야 가능하다며 관련 업계의 협력을 역설했다.정보 공유 부분에서 선사들의 협조도 당부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해운 경기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모든 선사가 공동으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양 원장은 "이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도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이번 발표에서는 이미 해운항만 분야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활용 중인 중국·일본 선사들의 사례도 소개됐다. 중국은 자유무역시험구에서 온라인 선복 예약 시스템을 구축했고, 일본은 오는 2025년까지 자율 운항 선박 250척을 개발하고 인력을 90%까지 줄이겠다고 선언했다.현대상선이 시험운항에 성공한 블록체인 기술도 언급됐다. 해운업계에 '종이 없는 거래'가 가능해진다면 해킹의 위험도 줄어들고 엄청난 이익이 생긴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다만,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력감축 문제는 해운업계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양 원장은 "선원들의 일자리가 60~70% 정도 줄어드는데, 그분들을 어떤 업무로 재배치할 것인지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것에 대한 방향 설정이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는 우리가 지금 해야할 일"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