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모바일 퍼스트'… "무선 통신망 구축 기반 기술격차 줄여야"KT '위성 위주로'… "초기 투자비용 및 리스크 부담 최소화 가능"LGU+ '선택과 집중'… "제2의 개성공단 등 경제특구 중심 구축"
  • ▲ ⓒKT
    ▲ ⓒKT

    오는 20일까지 평양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가운데, 향후 통신분야의 남북경제협력 방안을 놓고 이통사들의 대북 사업 전략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SK텔레콤은 1위 무선사업자인 만큼 '모바일 퍼스트'를, KT는 위성에 우선순위를 두며 위성서비스 관련 자회사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최근 CR센터 산하 남북협력기획팀을 신설했다. 10여명 규모로 꾸려진 이 팀은 전사적 차원에서 대북 협력사업을 모색하고 있으며, 북한 시장 현황과 해외 사례를 고려할 때 무선 중심의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선 대비 무선 인프라는 단기간 내 기술 격차를 줄일 수 있고, 중국·베트남·미얀마 등에서도 무선 중심의 ICT 인프라를 채택해 효과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선 보안과 연관된 통신망 구축에 북한 허가가 떨어질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철도, 도로 등 다른 SOC(사회간접자본) 구축과 연계해 충분히 관련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북한은 아직 3G에 머물러 있고 작년 6월 기준 휴대전화 보급 대수가 474만대 수준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SK텔레콤의 5세대 이동통신 기반 관련 모바일 기술 진출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더욱이 SK텔레콤 모기업인 SK그룹의 최태원 회장이 이번 방북단에 포함되 동행한 점도 통신분야 진출서 큰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SK텔레콤보다 앞서 남북협력 전담조직을 만든 KT는 위성을 통한 대북사업 가능성을 지속 제시하고 있다.

    모바일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무선 통신망 구축도 방안이 될 수 있으나, 망구축에 대한 가격부담을 줄이고, 한반도 전역 가장 빠른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로 위성을 낙점한 모양새다.

    일반적으로 방송·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별도의 망설치 및 투자가 필요하지만, 위성 서비스는 지상 재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중계기만 확보하면 별다른 제약없이 방송·통신 수신이 가능하다.

    아울러 불확실한 남북관계에서 대북 망 구축 사업을 진행하다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위험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한 조치란 분석도 존재한다.

    이를 위해 KT는 위성서비스 자회사인 KT SAT의 보안 문제를 풀어야할 숙제로 꼽으며, 위성 양자암호통신 상용화 및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진행 중이다.

    또한 위성 방송 서비스 자회사인 KT스카이라이프가 최근 무궁화 7호 위성의 신규 사용허가를 정부로부터 승인받아, 기존 무궁화 6호와 7호 위성을 통해 미디어사업 진출도 노리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북한 전역에 서비스를 진출시키기 보단 일부 지역 단위 통신 인프라 구축에 나서겠다는 포부다.

    LG유플러스 측은 "경제특구를 대상으로 한 통신인프라 구축 등 ICT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남북 경제협력이 가능한 아이템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이번 방북단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동행한 만큼 통신 분야서의 대북 사업 진출에 큰 기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이야말로 남북을 연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산업군이자, 남북의 문화적, 정서적 동질감 회복에 큰 역할을 하는 분야"라며 "통신 분야를 부수적인 지원 수단이 아닌 경제협력 자체 분야로 협의해야 하는데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