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심 뜨겁지만 정책은 R&D 지원책 일색… 업계, 다소 실망감 비쳐국내 바이오·헬스산업, 글로벌화 단계 접어들어… '규제 글로벌화' 필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재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제약바이오협회 강당에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뉴데일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재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제약바이오협회 강당에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뉴데일리

    최근 바이오·헬스산업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뜨겁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5일 서울정부청사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은 우리가 보유한 정보통신기술(ICT)과 우수한 의료 인력, 병원 등 강점을 살린다면 제2의 반도체와 같은 기간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재정부의 장관·처장 등이 한 자리에 모여 바이오·헬스 업계 CEO, 단체장들과 직접 만나 현장 의견을 경청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추경 관련 국회 일정이 있어 해당 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해 무척 아쉬워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막상 이날 간담회 이후 나온 정책에 대해 업계에선 다소 실망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하는 시점에서 정부가 주로 내놓은 연구개발(R&D) 지원책은 다소 뒤처진 감이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책도 다 R&D 지원 정책"이라며 "이제는 바이오산업이 R&D에서 산업으로 넘어갔기 때문에 산업 관련 정책을 내야 한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그는 "아직도 정책 입안자들은 R&D가 산업화로 어떻게 가는지의 관점에서 보는 것 같다"며 "이제는 바이오산업이 어떻게 글로벌로 갈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이제 막 1500조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에 발을 들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지난 2016년 이후 33개의 신약 후보물질 기술을 수출해 약 10조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R&D 지원책보다는 산업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규제의 글로벌화도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무조건적인 규제 완화가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규제를 벤치마킹해 혁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도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려면 규제의 글로벌 스탠다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서 회장은 지난 16일 인천광역시청 본관에서 열린 '셀트리온그룹 비전 2030년' 기자간담회 직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면서 "정부도 글로벌 스탠다드로 만들어야 하지만 기업도 글로벌 스탠다드가 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최근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계와 적극적으로 스킨십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앞으로 연평균 5.4%씩 성장해 오는 2022년까지 글로벌 시장 규모가 1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산업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우리나라가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가 아닌 '퍼스트 무버'가 될 수 있는 기회가 남아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아직 골든타임이 3~5년 정도 남았다. 국내 기업들이 조금이라도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의 글로벌화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