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케이뱅크 새 은행장으로 내정된 이문환 전 BC카드 대표가 '케이뱅크' 구원투수 역할을 해낼 지 업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KT 자회사를 활용하는 우회 증자 방안과 신규 투자자를 통한 자본확충 등 다양한 증자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논의되던 '플랜B'에서 벗어나 새 돌파구를 찾을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2대 은행장 후보로 이 전 대표를 추천했다.
이 내정자는 KT에서 기업통신사업본부장, 전략기획실장, 기업사업부문장을 지낸 뒤 2018년부터 KT 자회사인 BC카드를 이끌었다. 돌발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오는 31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때문에 이 내정자가 BC카드를 활용해 케이뱅크의 유상증자를 우회적으로 참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KT가 가진 지분 10%를 BC카드가 떠맡고, 케이뱅크가 발행하는 신주를 자회사가 인수하는 방식이다.
다만 'KT 특혜' 논란으로 국회가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이하 특례법)' 개정안을 부결시킨 상황에서, 정치권의 반대 움직임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 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대주주 적격성 문제를 자회사를 통해 해결하는 모습이 '꼼수'로 보여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인터넷은행 대주주의 한도초과 지분보유 승인 요건 중 '금융 관련 법령·공정거래법 등 위반으로 최근 5년간 벌금형 이상 형사처벌을 받은 경우'라는 조항에서 '공정거래법 위반' 부분의 삭제 여부다.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통신사들이 2015년 4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공공분야 전용회선 사업' 입찰을 담합했다며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세종텔레콤'에 총 과징금 133억 2700만원을 부과했다. 당시 KT는 담합을 주도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이로인해 KT의 케이뱅크 대주주 적격성 승인 심사가 중단됐다. 금융 관련 사업에 진출할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거쳐야 하는데, 공정위에서 법적 이의를 제기하자 관련 심사가 흐지부지됐다.
KT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관련 안건이 통과된 만큼 리스크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지만, 지난 5일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 정의당, 민주통합의원모임' 등의 반대 의견이 쏟아지며 결국 케이뱅크 최대주주 활로가 막혔다.
해외 투자자 유치를 통한 활로 모색도 점쳐진다.
최근 케이뱅크 실무진이 시장 조사 차원에서 해외를 방문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어, 해외 투자자 대상 증자 참여 가능성도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 아시아 21개사의 인터넷전문은행 인가가 예상돼, 아시아 기관 투자자들의 한국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실제 글로벌 금융허브인 홍콩에 8개 인터넷전문은행이 인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싱가포르 역시 3~5개의 인터넷전문은행 면허가 발급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네이버 계열회사인 라인이 라인뱅크의 준비법인을 설립하고 영업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코로나19로 국내 경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기존 주주를 통한 자본확충 방안을 내놓을 지도 주목된다. 현재 케이뱅크 대주주는 ▲우리은행(13.79%) ▲NH투자증권(10%) ▲IMM프라이빗에쿼티(9.99%) ▲한화생명(7.32%) 등이다.
현재 케이뱅크는 5000억원 규모의 추가 증자가 필요하다. 여러차례 증자에 참여한 기존 주주들의 주머니를 열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 여론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다음 국회로 개정안이 넘어가게 되면 오는 6월 이후 다시 법안을 내고 후속 절차를 밟아야 한다.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사실상 KT가 대주주로 나서는 방안이 어려워진 만큼, 이 내정자가 '플랜B'는 물론 기존에 논의되지 않은 '플랜C'까지 내놓을 지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케이뱅크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이 1년 새 5%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2019년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총자본비율은 10.88%로, 지난 2018년 16.53% 대비 5.65%p 하락했다.
업계는 "케이뱅크의 자본확충이 미뤄지면서 정상적인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여파가 반영된 수치"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