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온라인, 언택트, 스마트 인프라, 홈코노미 5개 키워드
-
한국무역협회는 '코로나19 이후 유망 수출시장' 보고서를 통해 팬데믹 이후 글로벌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하우스(HOUSE)'를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HOUSE'는 각각 헬스케어(Health care), 온라인(Online), 언택트(Untact), 스마트 인프라(Smart infrastructure), 홈코노미(Economy at home)의 머릿글자에서 따왔다.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재택근무 확대 영향으로 '랩톱 컴퓨터'와 '음식 배달'의 구글 검색량이 3월 중순부터 급증했다.미국은 사무자동화(OA), 방역·의료장비, 인프라 확충 등의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언택트 물류, 재택근무 관련 홈오피스 기기, 생활가전 수요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중국은 '닌텐도 스위치'의 검색량이 올 4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 및 4차 산업 기반 확충을 위해 5세대(5G) 이동통신, 초고압 송전설비, 인공지능(AI) 등 7대 신 인프라 투자를 앞당기면서 '샤오미', '컴퓨터' 등 관련 검색도 증가하고 있다.중국 소비자들이 전염병 확산기간 중 줄넘기, 러닝머신, 콘솔 게임기 등 가정 내 여가활동과 관련된 검색을 늘리면서 관련 제품도 유망할 전망이다.일본에선 4월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체온계'의 검색량도 올 1월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다. 또 퍼즐, 장난감 등 가정용 놀이용품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지난 3월 우리나라 완구의 대일 수출량은 207.9% 증가했다.유럽연합(EU)에서 공기청정기, 의류관리기 등 청정가전 수요가 늘자 3월 우리 수출도 진공청소기(123.8%), 식기세척기(62.6%) 등을 중심으로 급증했다. 프랑스에서는 '드라이브 스루 쇼핑'이 소비자 키워드 검색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인도는 전역에 봉쇄조치가 내려지자 e-러닝 등 온라인 콘텐츠와 IT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인도에선 '넷플릭스', '모니터', '랩톱 컴퓨터' 등의 검색이 급증했다. 마스크 등 부족한 의료용품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보고서는 "기타 지역 가운데 베트남은 식료품 및 유아용품, 인도네시아는 섬유·식품 원료와 헬스케어 시스템, 중동은 교통 인프라 및 건설 장비 시장 등을 주목해볼 만하다"고 밝혔다.손창우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일본은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인식 가능한 안면인식 게이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터치리스 기술 등에서 앞서나가고 있다"며 "각국이 공중보건 시스템 구축을 강화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우리는 정책 컨설팅과 시스템을 함께 수출하는 민관 공동 진출방안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