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기업들의 경영정상화에 투자하는 기업구조혁신펀드에 1조원을 추가 조성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3000억원을 ‘부채투자전용펀드(PDF)’를 운영하는 등 기업구조조정시장에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8일 ‘시장중심 구조조정 활성화’ 간담회에서 “코로나19로 많은 기업들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기업자산 매각 등 M&A투자기회 확대로 구조조정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기업구조혁신펀드 출자기관을 비롯해 법원-법무부 등 관계기관 시장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업구조조정 시장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 앞으로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채권금융기관 중심의 구조조정에서 벗어나 시장 중심의 구조조정을 위해 지난 2018년 8월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현재(지난 4월 기준)까지 철강업, 조선업, 자동차부품업 등 16개 기업에 7000억원의 투자금을 집행했으며, 올해 운용규모를 1조원 확대해 총 2조6000억원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재정 750억원을 바탕으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캠코,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출자를 통해 5000억원의 모펀드가 조성됐다.
올해는 기업구조혁신펀드 확대를 위한 투자방식도 유연화한다.
펀드가 결성된 직후 해당기업에 투자가 바로 집행되는 프로젝트 펀드 비중을 기존 26%에서 40%로 확대해 기업에 신속한 자금투입을 하기로 했다.또 기업의 차입수요충족과 신속한 투자집행을 위해 약 3000억원 규모의 ‘부채투자 전용펀드’를 신규도입하기로 했다.
투자대상도 다변화한다. 투자대상 기업규모를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하고 제조업 이외 혁신산업 업종도 투자를 검토하기로 했다.
구조조정 기업에 대한 타 펀드와의 공통투자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한 기업에 PDF와 사모투자펀드(PEF)를 공동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손 부위원장은 “이번 기업구조혁신펀드 확대에서 주목할 점은 부채투자전용펀드를 조성하는 것”이라며 “기업입장에서는 경영권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자금수요가 충족될 수 있고, 투자자입장에서는 지분투자에 비해 회수시점이 빨라 낮은 리스크로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손 부위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기업들의 유동성 위기로 정상 기업이 구조조정 기업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채권은행 중심의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정상화 지원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민간 자금과 창의성을 통해 기업의 가치-경쟁력을 제고하는 시장 중심의 구조조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 기업들이 유동성확보를 위해 계열사 등 보유자산을 매각하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성 있는 시장플레이어들이 선도적인 윤활유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