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에만 진료하는 것보다 중환자실 입실률 약 7배 낮아주말·야간 포함한 입원전담전문의 시스템 유효성 입증
  • ▲ 입원전담전문의 효과분석 연구 결과. ⓒ서울대병원
    ▲ 입원전담전문의 효과분석 연구 결과. ⓒ서울대병원
    입원전담전문의가 지속적으로 병동에 상주하면 주중에만 진료하는 것보다 환자의 임상결과가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9일 서울대병원 입원의학센터 내과 교수진(한승준, 정희원, 이재현, 문성도, 임진)은 내과병동을 입원한 환자 513명을 조사해 입원전담전문의가 상주하는 ‘24시간-7일’ 진료모델과 ‘주중’에만 진료하는 모델을 비교했다.

    입원전담전문의란 병동에 상주하며 입원환자의 진료를 책임지는 전문의를 말한다. 전공의 특별법, 입원환자 안전문제 해결을 위해 국내에서는 2016년부터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이 시작됐다. 

    연구팀은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서울대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한 환자 275명을 ‘주중’ 진료 그룹으로 분류했다. 전년도 같은 기간 입원한 환자 238명은 24시간-7일 진료 그룹으로 분류했다. 

    서울대병원은 도입 초기부터 24시간-7일 입원전담전문의 진료모델을 시행했으나,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는 입원전담전문의 인력 공백으로 주중에만 진료가 이뤄졌다. 덕분에 양 모델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입원전담전문의가 상주하는 24시간-7일 모델이 주중 모델보다 환자 임상결과가 우수했다. 24시간-7일 모델의 중환자실 입실률은 0.4%(1명)로 주중모델의 2.9%(8명)보다 7배가량 낮았다. 

    반면 지역병원으로의 전원율은 24시간-7일 모델이 12.6%(30명)으로 주중 모델의 5.8%(16명)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여러 변수를 보정한 결과 병동 내 사망위험이 주중모델에서 2배 가량 높았다.  즉, 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임상지표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상주했을 때 더 우수했다. 

    한승준 서울대병원 입원의학센터 교수는 “주말진료를 포함한 연속성 있는 입원전담전문의 시스템이 입원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적절한 의료자원 분배에 기여한다”며 “국내 입원전담전문의 시스템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수가체계를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