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주 교수 “지역·성별·연령대 구분 후 단면조사 방식으로 전환”물리적으로 조사 대상 늘리는 방식보다 견고한 설계가 우선 항체가 조사 기반 ‘집단면역 비율’ 예측 등 과제 풀어야
-
방역당국이 대규모 ‘항체가 조사’를 예고했다. 항체가 조사가 진행되면 PCR(유전자 증폭) 확진자 외 무증상 등 숨겨진 확진자 등 전반적 감염 범위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항체가 조사는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최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민 3055명의 혈액을 분석해 다음주 항체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대상은 4월 21일부터 6월 19일까지 수집된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용 잔여 혈청 1555건과 5월 25일부터 5월 28일 사이 수집된 서울 서남권 내원환자 혈청 1500건 등이다.또 7∼8월 중에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건강검진과 연계해 인구 1000명에 대한 조사가 이어진다. 이런 식으로 올 연말까지 7000명의 항체조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문제는 방역당국이 진행하는 항체가 조사 방법이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시간, 장소 등 너무 범위가 넓어 명확한 값을 얻어내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이와 관련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항체가 조사는 단면조사로 진행돼야 한다. 특정기간과 장소를 정해 그 시기에 감염이 이뤄졌는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일례로 일주일 등 기간을 정해놓고 확산세가 큰 지역을 대상으로 항체가 조사를 벌여야 실질적인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그는 “방역당국이 진행 중인 항체가 조사는 기간이 너무 길다. 대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지역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해 단기간에 조사를 마쳐야 한다. 뜸을 들이는 순간 조사결과는 부정확해진다”고 언급했다.아쉬운 점은 2~3월 대구지역 확진자가 급증했을 때, 항체가 조사가 시행됐으면 실제로 어느 정도 감염이 됐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김 교수는 “지금 진행 중인 항체가 조사가 과연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다. 단면조사로의 변화 등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lgG’ 항체 보유와 집단면역의 근거코로나19 항체가 검사는 ‘lgG’ 항체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핵심이다.lgM 항체 양성은 최근에 발생한 감염을 뜻하고 lgG 항체 양성은 과거 2~3주 전 감염이 됐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궁극적으로 집단면역 비율를 예측해 종식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김 교수는 “항체가 조사가 필요한 이유는 수면 아래에 있는 확진자 수를 예측하고 방역망 재설정 등 대응을 하기 위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큰 틀에서 집단면역 50~60%가 되면 종식이 된다는 가정하에 그 비율을 진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실제로 항체가 조사로 PCR 진단을 통한 확진자 외 무증상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수면 아래에 있는 확진자 수를 파악해 집단면역이 형성됐는지를 추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한편, 코로나19의 어려운 점은 ‘lgG’ 항체를 보유했다고 해서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중화항체’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기에는 다소 애매한 지점이 있다는 것이다.김 교수는 “lgG 항체가 있으면 코로나19에 안 걸린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lgG 항체를 보유한 사람을 대상으로 해외여행 허용 등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 수개월이 지나면 lgG 항체가 소멸된다는 논문도 나온 만큼 아직 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