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의료분야 2025년까지 2000개 일자리 창출 목표 스마트병원 모델 기반으로 ‘원격의료 제도권 진입’ 추진 호흡기전담클리닉·AI 정밀진단 체계 형성도 중점과제로 설정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한국판 뉴딜에 ‘비대면 진료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점과제로 설정됐다. 단순히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것이 아닌 스마트병원을 만들어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기반으로 단계적 절차를 거쳐 비대면 진료를 제도권에 진입시키는 과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최근 청와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정책 중 의료분야의 핵심 안건은 ▲스마트병원 18곳 ▲호흡기전담클리닉 1000곳 ▲20개 질환 AI 진단체계 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2025년까지 3000억원을 투입해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면, 2000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그간 민간병원 자체적으로 시도했던 스마트병원으로의 시스템 변화를 정부 주도로 추진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스마트병원은 입원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의료기관간 협진이 가능한 5G, IoT 등 디지털 기반 진료체계를 갖춘 곳을 의미한다. 즉,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형성된 병원을 말한다. 
     
    정부는 올해 3차 추경예산을 통해 3곳을, 2022년까지 6곳, 2025년까지 9곳을 추가로 만들어 총 18개의 스마트병원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일반병원이 스마트병원 모델로 전환시 10억~20억원 수준의 지원이 이뤄진다. 
     
    일례로 격리병실,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의 영상정보를 의료진에게 실시간 전송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고, 감염내과 전문의가 없는 병원 의료진과 원격으로 협진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부는 “감염병 대응 국민편의 제고를 위해 복지부를 중심으로 의료계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비대면 의료 제도화 추진할 것이다. 환자안전 의료사고, 상급병원 쏠림 등 우려에 대한 보완장치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한국판 뉴딜에 담긴 스마트병원 구축은 곧 비대면 진료 기반을 형성하는 목적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의 비대면 진료 반대가 거센 상황으로 이를 해결하는 것이 추후 정책 설계과정에서 가장 큰 숙제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권순만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 14일 열린 국민건강보험공단 토론회를 통해 “비대면 진료가 대형병원 중심으로 형성될 것이라는 개원가의 우려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고령화를 대응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그는 “동네의원의 입지가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만성질환관리 측면에서 병원급 이상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 긍정적 형태로 변화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비대면 진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한국판 뉴딜에서 스마트병원 모델 구축 외에도 호흡기전담클리닉 설치, 20개 질환 AI 진단체계 구축도 주요 과제로 설정됐다. 

    호흡기, 발열 증상을 사전에 확인하는 등 안전진료가 가능한 호흡기전담클리닉 1000개를 내년까지 만들기로 했다. 시설개보수비, 화상진료기기, 음압장비 구입 등 1개소 당 1억원을 지원한다.

    기존 8개 질환에서 간질환, 폐암, 당뇨 등 12개 질환을 추가해 AI 정밀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형 ‘왓슨’으로 불리는 ‘닥터앤서 2.0’ 지원책이 발동되는 것이다. 닥터앤서는 1.0버전 개발에 2018년부터 올해까지 총 364억원이 투입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