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고용-발전수익 분배-관광인프라 확충 '일석삼조'재생에너지 확대 핵심인 주민 수용성 높이는 모범사례로 주목
  • ▲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 시공 현장. ⓒ한화큐셀
    ▲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 시공 현장. ⓒ한화큐셀
    한화큐셀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세계 최대 댐 수상태양광 발전소인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주민참여형 발전사업으로 진행한다.

    22일 양사는 지역 발전소 건설시 지역민을 고용하고 주민 투자 제도를 마련해 지역에 설치된 발전소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도록 사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최근 안전기원제를 지내고 본격적으로 공사에 돌입했다.

    이 발전소는 총 사업비 924억원, 설비용량 41㎿로, 2021년 준공 예정이며 약 6만명이 연간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한다. 또 연간 미세먼지 30t 및 온실가스 2만6000t 감축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양사는 발전소 건설을 위해 지역 인력을 수십명 규모로 우선 고용하고 지역 공사업체 및 중장비 업체를 참여시킬 예정이다.

    나아가 지역 어업계의 선박을 활용해 수상공사 기자재를 운반하고 향후 20년 동안 발전소를 유지보수하면서 필요한 인력과 환경감시원 역시 지역민들을 채용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을 투자자로 참여시켜 발전소 수익도 나눌 예정이다. 지역민은 투자를 통해 발전소 지분을 획득, 참여 비율에 따라 20년간 4~10%의 고정 이자수익을 배분 받는다.

    아울러 이 발전소는 합천군의 군화(郡花)인 매화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건설된다. 이는 발전소 소재지인 합천군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향후 재생에너지 견학과 관광자원화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장기적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추진된다.

    박갑천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 주민협의체 회장은 "수상태양광이 주민들의 수익과 고용을 창출하고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돼 지역사회의 경제를 재건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주민참여형 발전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17년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포함된 내용이다.

    에너지 보급주체를 기존 외지인, 사업자 중심에서 지역민과 일반 국민 참여 유도로 전환한 것이 핵심이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주민 참여가 중요하다는 관점이다.

    전국적으로 재생에너지 사업과 관련한 분쟁이 많은 상황에서 지역민 직접고용과 수익의 안정적 배분 그리고 관광인프라 구축과 같은 지역 발전의 중장기적 관점까지 함께 아우르는 수자원공사와 한화큐셀의 주민참여형 발전사업은 업계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너지학회 수석부회장인 박진호 영남대 화학공학부 교수는 "재생에너지 확산의 가장 큰 걸림돌인 지역 사회와의 갈등을 해소한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의 주민참여형 사업모델은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전 세계 국가들의 글로벌 벤치마킹 대상"이라며 "주민, 환경, 경관 조화로 수상태양광이 핌피(PIMFY)시설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모범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더불어 한화큐셀은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 기준을 갖춘 제품으로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할 계획이다.

    수상태양광 전용 모듈인 큐피크 듀오 포세이돈(Q.PEAK DUO Poseidon)이 발전소에 적용된다.

    친환경 자재로 생산된 이 모듈은 85℃, 상대습도 85%의 환경에서 3000시간 이상 노출 검사 등의 KS인증심사 규정보다도 높은 내부 시험기준을 적용한 고온, 다습한 환경에 특화된 제품으로 수상 환경에 최적화돼 있다.

    김희철 한화큐셀 사장은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태양광 모듈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 사회와 상생해 이번 공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우수한 태양광발전소 품질과 장기적 안정성을 갖춘 시공을 통해 주민들과 지역 사회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합천댐 수상태양광 발전소는 환경안정성도 검증됐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합천호 수상태양광 실증 단지에서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한 모니터링 결과 태양광 발전시설이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원 측은 "수질, 수생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는데, 발전설비의 영향을 받는 수역과 그렇지 않은 수역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대부분 항목이 기준치 이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