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1차 유행→사랑제일교회·집회 2차 유행→수도권 중심 3차 대유행개인방역 중심으로 거리두기 효과… 政, 미흡한 단계 결정 등 개선과제 산적 국내 유입 1년째, 폭발적 급증 딛고 일일 확진자 감소세… 안심은 일러
-
지난해 1월 20일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여성이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로 판명됐다. 그 이후 1년간 3차까지 이어진 대유행이 사회 전반을 휩쓸었고, 그 공포와 불안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소위 ‘K-방역’이라고 명명된 자신감은 종식을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해석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올해는 전 국민 70%의 집단면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견고한 K-방역이 작동돼야 하는 숙제를 풀어야 한다. [편집자주]◆ 첫 확진자 발생부터 3차 대유행까지작년 이날 낮 12시 30분 중국 우한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30대 중국인 여성이 검역 과정에서 발열 등 증상을 보였다. 당시 특별검역을 진행하던 이승화 검역관의 예측이 맞아들어갔고 그는 다음날인 20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곧바로 질병관리본부(현 질병관리청)는 신종감염병 해외유입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이때만 해도 정확한 명칭도 없이 ‘우한 폐렴’이라고 불렸던 이 신종감염병의 위험성은 크게 와 닿지 않았다. 스쳐 지나가는 중국발 공포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허다했고, 지금처럼 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느껴지지 않았다.그러나 약 한 달 만에 분위기는 반전됐다. 2월 18일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대구교회 관련 31번 확진자가 ‘슈퍼 전파자’가 되면서 사태의 심각성은 커지기 시작했다.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폭발적으로 늘어나 2월 29일에는 909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1만774명 감염)’으로 기록된다.통상 여름은 겨울 대비 전염병 확산세가 강하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았지만, 코로나19는 이를 뒤집었다. 8·15 광복절 도심 집회와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를 축으로 하는 집단감염에서 확진자가 속출했다. ‘2차 대유행(1만3282명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지금은 ‘3차 대유행’ 시기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1~2차 때와 다르게 특정 집단이나 지역이 한정되지 않은 수도권 중심 집단감염,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지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이 특징이다.특히 지난달 13일에는 처음으로 일일 신규확진자 1000명이라는 ‘심리적 저지선’이 무너졌고, 이달 초까지 이 흐름은 유지됐다. 다행히 19일 0시 기준 386명으로 집계되는 등 유행파의 규모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이와 관련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하루 1000명대 확진자가 발생하던 12월 말과 비교하면 유행 규모가 한풀 꺾인 것은 맞지만, 아직 3차 유행이 진행 중이다. 여전히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3단계→5단계 변화, 여전히 논란 많은 ‘거리두기’코로나19 창궐 초기만 해도 일일이 확진자의 경로를 파악하는 등 촘촘한 방역망 형성이 가능했다. 개인정보 공개 등 논란의 소지는 있었지만 이를 기반으로 선제적 접근이 가능했고 방역당국차원의 대응이 가능했다.그러나 방역망이 늘어나는 확진자 수를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달았고 개인방역을 강조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핵심으로 떠올랐다. 사실상 지난 1년간 코로나 시기를 버텨온 근거라고 봐도 무방하다.정부는 3월 22일 1차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했고 4월 6일 2차 거리두기를 실시한다. 이때 코로나 장기화 사태에 대비한 생활방역 전환을 목표로 신규 확진환자 수 50명 이하,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비율 5% 이하 등 목표가 제시된다.현재와 같은 구체적 사항이 명시된 거리두기 방안은 6월 28일 발표됐으며 당시에는 3단계 기준이 적용됐다. 7월 17일 권역별 거리두기 단계 조정 기준도 마련된다. 이 기준을 토대로 2차 대유행이 발생하던 2단계 격상이 이뤄졌다.11월 1일 기존 3단계에서 1.5단계, 2.5단계가 추가된 5단계 개편이 시행된다. 이는 현행 거리두기 기준이기도 하다. 3차 대유행이 발생하면서 12월부터는 수도권 거리두기 2단계 강화 및 비수도권 1.5단계가 적용 중이다.지난 1년간 K-방역의 핵심은 거리두기였다. 타 국가와 달리 개인방역을 준수하는 국민성에 힘입어 수차례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이 되기도 했지만, 거리두기 결정 과정에서 매번 논란에 휩싸였다.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1년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대응과 관련 “방역과 일상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었다”고 고백했다.그는 “예전에 경험 못 한 것이었다. 균형을 잡고 적절하게 조치하는 것이 아직도 어려운 숙제”라고 말했다.정부는 경제와 방역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의지가 강했지만, 코로나 확산을 꺾기는 역부족이었다. 실제 대다수 감염병 전문가들은 이번 3차 유행이 촉발된 주요 원인을 10월 11일 거리두기 1단계가 적용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물론 감염병 전문가도 일부 포함된 ‘생활방역위원회’를 통해 거리두기 단계를 결정하고 있지만, 핵심 사안은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가 만든 안을 토대로 이뤄지기 때문에 단순히 의견청취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온다.3차 유행파가 번지는 과정에서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의료계 단체와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등 전문가는 12월 초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2주간 시행해 확산세를 막아야 한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하지만 정부는 짧고 굵은 3단계가 아닌 ‘2,5단계+ɑ’로 불리는 핀셋 방역 조치를 시행했고, 몇 주째 영업을 중단해야만 했던 헬스장 등 다중이용시설 업주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지속적으로 논란이 가중되자 어제(18일)부로 거리두기 연장 및 일부 업종 운영이 허용됐다.거리두기 단계 결정은 국내 방역망 가동의 핵심인 만큼, 올해도 오르락내리락 단계 조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보다 폭넓은 전문가와 국민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향으로 개선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료계의 전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