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로나스와 해상광구 분배계약 체결탐사 4년, 개발 및 생산 기간 24년 보장CCS, 블루∙그린수소 생산… 탄소중립 첨병 역할 기대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천연가스 부존 가능성이 높은 말레이시아 해상 광구 탐사운영권을 획득하며 미얀마에 집중돼 있던 에너지 사업 지도를 넓혔다.

    미얀마에 이은 제2의 자원개발 신화에 도전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일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나스와 말레이반도 동부 천해 PM524 광구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아디프 줄키플리 페트로나스 상류부문 사장, 하스리자 오쓰만 페트로나스 차리갈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8월 국제 입찰로 PM524 광구 탐사권 낙찰사로 선정된 이후 페트로나스 차리갈리와 생산물분배계약 세부조건에 대한 조율을 거쳐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했다. 운영권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지분 80%를, 페트로나스 차리갈리가 지분 20%를 보유하게 된다.

    생산물분배계약은 탐사 성공 시 생산되는 원유와 가스 일부를 계약자가 투자비 회수 목적으로 우선 거둬들인 뒤 잔여분을 정부와 계약자가 일정 비율로 나눠 가지는 방식이다. 동남아시아 등 주요 산유국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계약형태다.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광구운영권을 포함한 4년의 탐사기간과 24년의 개발 및 생산기간을 보장받았다. 이에 따라 2024년까지 3D 인공지진파 재처리 등 최신 기술을 통해 광구의 유망성을 평가하고, 2025년부터 탐사시추를 통해 가스 발견에 나서 가스 발견 시 말레이시아 내수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PM524 광구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위치한 말레이반도의 동쪽 해상 수심 50~80m인 천해 지역에 위치하며 면적은 4738 km²다.

    PM524 광구 내부와 인근에는 페트로나스가 운영하는 다수의 가스전이 있고 파이프라인을 통해 육상 터미널로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PM524 광구에서 가스전 탐사가 성공하면 인근 생산 설비를 활용한 연계 개발이 용이하다. 또 가스전 초기 개발비 및 개발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주시보 사장은 "말레이시아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선언과 함께 국영석유사인 페트로나스 주도로 친환경에너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탄소중립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가스전을 활용한 CCS(탄소 포집∙저장), 블루∙그린수소 생산 등을 통해 포스코그룹 전체가 그리는 탄소중립 계획에 첨병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디프 줄키플리 사장은 "미얀마에서의 성공 경험을 보유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참여로 말레이시아 천연가스 탐사에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보유한 CCS 기술을 말레이시아에 적용함으로써 그린에너지 생산 포텐셜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