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연예기획사부터 유통업계까지 NFT 열풍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파생된 '유일한 교환권'디지털 자산에 원본을 증명… '봉이 김선달' 지적도
  • ▲ 최근 서비스를 개시한 롯데홈쇼핑의 NFT샵.ⓒ롯데홈쇼핑
    ▲ 최근 서비스를 개시한 롯데홈쇼핑의 NFT샵.ⓒ롯데홈쇼핑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메타버스’와 함께 거론되는 마법의 단어로 NFT(대체불가능토큰)가 있다. 한때 기업의 사업목적에 NFT가 거론되는 것만으로 주가가 상승할 정도. 게임, 연예기획사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던 NFT 관련 사업이 최근에는 유통업계까지 진출하는 중이다. 

    하지만 이 NFT가 무엇인지에 대해 온전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NFT가 무엇이길래 유통기업이 앞다퉈 뛰어드는 것일까.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를 증명하는 토큰을 말한다. 

    물론 여기에서 토큰은 실제 주화가 아닌 암호화화폐에 가깝다. 암호화화폐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활용해 발행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NFT는 암호화화폐 네트워크에서 고유한 인식 값을 가지고 파생된 디지털 파일이다. 

    1개 코인이 다른 1개 코인과 가치가 동일한 암호화화폐와 달리 NFT는 다른 토큰으로 교환하거나 분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각각의 토큰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다른 토큰과 구별되는 식별코드를 기록하기 때문에 변조나 위조가 불가능한 것이 특징. 

    이런 성격 때문에 Non-Fungible Token의 약자를 따 NFT라고 읽지만 좀 더 의역을 하면 ‘하나뿐인 교환권’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NFT의 의미가 본격화된 것은 최근 디지털 자산에 관심이 높아지는 ‘메타버스’ 열풍과 무관치 않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가치가 생긴다면 이 소유권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NFT가 줬기 때문이다. NFT의 유일무이성은 디지털 자산의 베타적 권리를 설정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사실 디지털 파일은 원본과 카피가 동일하기 때문에 소유주를 증명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현물 그림은 원본의 보유자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그림파일은 간단한 복사만으로 원본과 구분할 수 없는 동일한 그림파일이 생성된다. 여기에서 NFT의 역할은 해당 그림파일의 주소와 소유자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것이다. 복사된 그림파일을 수많은 사람이 보유하더라도 원본의 소유자는 NFT를 통해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사 파일로 또 다른 NFT를 만들어 원본 소유자임을 주장하더라도 원본 NFT의 생성일과 다르다면 이 NFT는 당연히 원본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

    실제 방송국 MBC는 지난해 8초 분량의 ‘무야호’ 영상을 NFT로 만들어 판매한 바 있다. 이 ‘무야호’ 영상은 이미 공중파 예능방송인 ‘무한도전’에서 방송됐던 것으로 이미 수많은 디지털 파일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무야호’ NFT는 이 영상의 디지털 소유자를 특정했기 때문에 디지털 파일의 원본은 NFT 소유자로 증명할 수 있게 됐다. 

    물론 이 NFT의 소유자의 수중에 ‘무야호’ 영상의 필름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NFT가 증명하는 것은 오로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권일 뿐이다. 당연히 실물 ‘무야호’ 영상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수도 없다.

    이 때문에 NFT를 두고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현물의 소유권을 빼고 오로지 디지털 파일에 대한 원본을 보유하고 있다는 증명 외에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 ▲ NFT로 만들어진 무한도전의 '무야호'ⓒMBC
    ▲ NFT로 만들어진 무한도전의 '무야호'ⓒMBC
    그럼에도 NFT의 관심이 갈수록 뜨거워지는 것은 이 원본 증명에 대한 가치가 천정부지로 치솟기 때문이다. MBC의 8초짜리 ‘무야호’ 영상은 경매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 끝에 950만원에 낙찰됐다. 고(故) 김환기 화백의 대표작인 ‘우주’를 디지털로 전환한 작품 3종은 경매에서 총 7억3700만원에 낙찰됐다. 

    해외에서는 한술 더 뜬다. 미국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유가랩스는 지난해 1만여 개의 ‘지루한 원숭이’ NFT 시리즈를 만들었는데 경매에서 100여 개의 ‘지루한 원숭이’ NFT 세트는 2440만 달러(약 310억원)에 낙찰됐다.

    메타버스에 관심이 높은 게임사나 수집욕구가 매출로 이어지는 연예기획사에서 메타버스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치 않다. 나아가 유통업계의 관심은 NFT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를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NFT는 최근 MZ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디지털 파일을 만들기만 하면 가치가 생겨난다는 점에서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기법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와 개발, 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