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둔화세 쉬이 안 꺾일 듯 中리오프닝·우크라戰에 유가 들썩
  • 한국은행이 국제유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등에 따른 불확실성에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달렸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2일 '물가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 보고서를 통해 "향후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최근 여건 변화를 감안해 둔화 속도와 관련된 불확실성은 크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유가 추이,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파급 영향, 기대인플레이션 변화 등이 향후 물가 흐름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해 있다"고 했다. 
        
    우선 국제유가는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에 따른 수요 확대 가능성,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 양상과 러시아 감산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등이 상방 리스크로 자리하고 있다. 

    또 공공요금 인상 폭과 시기와 관련해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연내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요금 인상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직·간접적으로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인상폭과 시점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질 수 있다.  

    국제유가와 공공요금 상승폭이 커질 경우, 생산원가 상승으로 다른 재화 및 서비스 가격에 대한 2차 파급영향으로 나타나 근원 물가에 대한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세 역시 물가 둔화 속도를 늦추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송상윤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향후 국제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폭 확대, 근원물가에 대한 파급영향 등이 나타날 경우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를 더디게 할 수 있다"면서 "석유류와 전기, 도시가스 요금은 체감도가 높아 단기 인플레이션과의 연관성이 적지 않고 전기, 가스, 수도 요금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즉각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경제 상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중앙은행의 정책 대응에 따라 향후 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정교한 정책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