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자산형성 도움…소득공제 혜택 및 저보수 매력 부각과거 소득공제 장기펀드 실패 사례…니즈‧관심사 반영해야작년 출시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 속출…가입 유지 중요
  • ▲ ⓒ정상윤 기자
    ▲ ⓒ정상윤 기자
    최근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이 2030 금융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이하 청년펀드)를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청년펀드 만큼은 흥행에 실패했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유인책들을 앞세워 해당 금융상품의 본질인 청년의 자산 형성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초 정부가 청년펀드를 도입한 이후 약 15개 자산운용사들은 30종 가까운 상품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미래에셋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대신증권 등은 즉각 펀드 판매를 개시했다.

    납입금액의 40% 소득공제가 가능한 청년펀드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정책 금융상품이다. 연간 급여액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 청년이 가입할 수 있다.

    해당 펀드는 앞서 문재인 정부가 정권 막바지인 지난해 초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신설한 제도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전 정권 상품'이란 꼬리표에 추진 동력이 떨어졌으나, 최근 정부가 제도를 적극 도입하면서 추진력을 얻게 됐다.

    운용사들이 출시한 청년펀드는 3~5년 동안 가입을 유지하면 매년 최대 납입금인 600만원까지 40%를 소득공제 받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국내 주식에 40% 이상 투자해야 하며, 나머지 자산은 각 운용사의 전략에 맞춰 구성할 수 있다.

    일반 펀드 상품과 비교했을 때 보수가 적다는 점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펀드에 가입하고 3년 이내에 해지할 경우 납입금의 6.6%를 해지 수수료로 내야 하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투자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인지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청년펀드가 젊은 고객들의 자산 형성에 이바지하는 동시에 이들을 신규 고객으로 유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과거 청년들을 위한 정책 금융상품 다수가 흥행에 실패했던 만큼, 이번에는 다양한 전략‧이벤트 등 청년 고객을 유인하기 위한 요인들을 경쟁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과거 박근혜 정부에서도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를 위한 소득공제 장기펀드, 재형저축펀드 등이 있었지만 기대치를 한참 밑도는 실적을 낸 바 있다"라며 "출시 초창기에만 반짝했을 뿐, 계좌 수는 물론 수익률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정권이 바뀌면 이전 정권이 선보였던 금융상품의 세제 혜택 등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라며 "이를 예상한 투자자들은 정권이 바뀌기 전 일찍이 자금을 빼는데, 이는 흥행에 찬물을 끼얹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소득세 부담이 낮은 청년들에게 소득공제는 큰 유인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다른 관계자는 "청년펀드는 연 5000만원 이하 소득자가 대상인데 해당 구간은 소득세율이 낮은 편"이라며 "소득세 부담이 낮은 청년들은 소득 공제보단 높은 수익률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청년펀드가 흥행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중도에 해지하는 투자자들이 적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번 정부에서 내놓은 청년 정책금융상품인 청년희망적금의 중도 해지자가 벌써 45만명을 넘은 것으로 전해졌다"라며 "그만큼 경제적 어려움에 부닥쳤거나 급전이 필요한 청년들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년희망적금을 중도 해지한 2030 고객들의 자금을 어떻게 끌어올지도 흥행의 관건이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청년 고객의 니즈와 관심사를 반영한 다양한 상품과 유인책이 나와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