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 법인 CU Central Asia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체결내년 1호점 개점, 5년 간 500점 오픈 목표1인당 구매력 평가지수 중앙아시아 1위… 잠재력 커
  • ▲ BGF 리테일 이건준 대표(왼쪽)와 Shin-Line 신 안드레이 대표가  CU 카자흐스탄 진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체결식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BGF리테일
    ▲ BGF 리테일 이건준 대표(왼쪽)와 Shin-Line 신 안드레이 대표가 CU 카자흐스탄 진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체결식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BGF리테일
    이건준 BGF리테일 사장이 편의점 CU의 세 번째 해외 진출 국가로 카자흐스탄을 낙점했다. 기존에 진출했던 몽골의 편의점 시장 1위의 경험을 토대로 글로벌 시장에 K-편의점의 영토 확장에 나서겠다는 포부다. 

    20일 BGF리테일에 따르면 회사는 카자흐스탄 현지 기업 ‘Shin-Line(이하 신라인)’의 편의점 전문 신설 법인인 ‘CU Central Asia’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Master Franchise)을 맺고 카자흐스탄 시장에 진출키로 했다.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은 프랜차이저인 BGF리테일이 현지 기업에 브랜드 사용 권한 및 매장 개설, 사업 운영권을 부여하고 로열티를 수취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BGF리테일은 국내 편의점 업계 최초로 중앙아시아 국가까지 진출 범위를 넓히며 글로벌 기업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

    신라인은 카자흐스탄 아이스크림 시장 40%를 점유하고 있는 중앙아시아 최대 아이스크림 업체다. 카자흐스탄 및 중앙아시아 전역에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라면, 냉동식품, 유제품 등 편의점과 밀접한 상품으로 사업 영업을 확장 중이다.

    CU가 세 번째 진출 국가로 카즈흐스탄을 선택한 것은 이 사장과 신라인의 강한 의지가 기반이 됐다. 신라인의 신 안드레이 대표는 고려인 3세로 한국 문화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U만의 차별화되고 전문적인 운영 시스템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 수차례 한국을 찾기도 했다.

    BGF리테일은 작년 하반기 카자흐스탄 현지 유통 시장 조사를 시작해 이후 신라인과 함께 카자흐스탄 진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지난 11월에는 신라인과 MOU를 맺고 구체적인 사업 계획 수립에 돌입했으며 올해 상반기 현지 사업 타당성 검토 과정을 거쳐 CU Central Asia와 최종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마무리했다.

    카자흐스탄은 1인당 구매력 평가지수를 기반으로 계산한 GDP(PPP) 기준 지난해 3만불을 돌파하며 중앙아시아 5개국 중 1위에 오를 만큼 소비자의 구매력이 높고, 전체 인구 중 30세 미만의 청년층이 53%를 차지하는 등 편의점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는 곳이다.

    CU는 내년 상반기 1호점을 시작으로 향후 5년 동안 500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인접 국가까지 추가 진출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현재 CU는 몽골과 말레이시아의 점포 수는 현재 각각 약 300점, 130점으로 올해 중 ‘글로벌 500호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건준 사장은 “몽골 편의점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는 등 대한민국 CU가 글로벌 스탠다드로 성장해 가고 있다”며 “지난 30여 년간 국내외에서 쌓은 CU만의 성공 노하우로 글로벌 시장에서 K-편의점의 저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건준 대표는 1993년 BGF그룹에 입사해 전략기획실장과 경영지원부문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전략기획 전문가로 꼽힌다. 2017년 BGF그룹 지주사인 BGF 대표를 거쳐 2020년부터는 BGF리테일 대표를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