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 설치시 연간 운영비 7000억원 필요”
  • ▲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 토론회 현장. 앞줄 왼쪽서 네번째부터 유상범 의원, 한화진 환경부장관, 엄태영의원(정가운데),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장(앞줄 오른쪽서 다섯번째), 이종석 삼표시멘트 대표(앞줄 오른쪽서 세번째).ⓒ한국시멘트협회
    ▲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 토론회 현장. 앞줄 왼쪽서 네번째부터 유상범 의원, 한화진 환경부장관, 엄태영의원(정가운데),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장(앞줄 오른쪽서 다섯번째), 이종석 삼표시멘트 대표(앞줄 오른쪽서 세번째).ⓒ한국시멘트협회
    시멘트업계가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 개선에 필요한 환경투자 시설개조에 한계가 있다며 정부의 지원책 마련을 요청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지난 15일 국회에서 ‘시멘트 생산시설 주변 대기환경 정상화 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의 설치와 이와 관련한 국가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됐다.

    미세먼지의 일종인 질소산화물(NOx)은 오는 7월1일부터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시멘트 제조업이 추가되면서 최대 배출기준이 기존 270ppm에서 강원 및 충북지역 시멘트공장의 경우 118ppm~168ppm으로 강화됐다.

    시멘트업계는 순환자원(폐기물) 재활용을 확대하면 질소산화물은 물론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 배출 저감 효과가 뚜렷해 순환자원 사용 확대에 나서고 있다. 또 현행 선택적비촉매 환원설비(SNCR)의 효율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 패널로 참여한 한국시멘트협회 이창기 부회장은 일각에서 제기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설비(SCR) 도입 주장에 대해 “다른 저감 기술 도입에 따른 기술적, 공간적, 경제적 문제점이 상존한다”며 “성능 검증 등 기술적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현장 적용으로 효과가 입증돼야 도전할 수 있는 과제”라고 말했다.

    시멘트업계에서는 SCR을 설치할 경우 생산라인(킬른) 1기당 수백억원의 설치비가 필요하고, 매년 설치비용에 버금가는 운영비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운영 과정에서도 다량의 온실가스가 추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원 마련의 부담이 큰 상황이다. 

    실제 시멘트업계는 지난 5년간 환경부문 설비투자에만 약 2조315억원을 투입했는데 SCR 설치시 운영비만 매년 약 7000억원 이상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정부가 유럽과 같이 적극적 지원에 나서주기를 호소하고 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시멘트 판매가격을 감안할 때 재원 마련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 외에도 환경개선에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 규제 완화 등이 절실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