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정례 기자간담회서 "검찰 수사 통해 밝혀질 사안"
  • ▲ 윤희근 경찰청장. ⓒ뉴데일리DB
    ▲ 윤희근 경찰청장. ⓒ뉴데일리DB
    윤희근 경찰청장이 최근 거세지고 있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경찰 책임론과 관련해 "책임이 있다면 수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라고 밝혔다.

    윤 청장은 24일 서대문구 경찰청 기자실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에서 압수수색을 하는 등 수사를 하고 있다"며 "수사를 통해 지자체든 경찰이든 관련 기관에 책임이 있다면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 청장은 "현장 출동했던 경찰관과 112 신고 당시 지휘 라인에 있던 경찰관들의 진술이 조금씩 엇갈리는 부분이 있다"며 "진상 조사를 통해서 누구든 예외 없이 상응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참사 당시 충북청이나 관할서 차원에서 오송파출소 인근 파출소 인력을 추가 배치할 수 있던 것 아닌가'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당시 흥덕서 관내에서 유사 신고가 빗발쳐 대응하느라 정신이 없던 상황으로 안다"며 "당일 흥덕 관내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산사태도 있었기 때문에 (추가로 인력을 투입할)여력이 없었다고 보고 받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오송 참사를 계기로 위급재난 시 도로통제에 대한 권한을 경찰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일각의 의견에 대해서는 "호우피해 등 재난 상황 시 도로통제는 누가 신고한다고 바로 하는 게 아니라 하천 수위와 도로 구조, 시설물 현황 등 종합 판단해서 결정하는 것"이라며 "현행법상 지자체에서 1차적으로 이에 대한 관리 책임이 있고 그 시스템이 맞는다고 본다"고 답했다. 

    한편 지난 21일 오송 참사 관련 수사본부를 꾸린 검찰은 이날 오전 부실 대처 의혹을 받는 관계기관 충북경찰청, 충북도청, 청주시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충북소방본부 등 5곳에 대해 동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충북청은 당시 참사 발생 1시간 전 지하차도 인근 통제를 요청하는 112 신고를 받고도 출동하지 않은 채 출동한 것처럼 허위 보고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