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조작 범죄 가능성 100% 주장 공매도 상환 기간, 담보비율 130% 통일해야
  •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이하 한투연)가 지난달 2차전지주를 중심으로 나타난 롤러코스터 장세에 대해 불법 공매도 여부를 조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2일 오전 한투연은 금융감독원 앞에서 당국의 조사를 요청하는 집회를 열고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정의정 한투연 대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국민을 가난하게 하는 불법 무차입 공매도를 척결하라"면서 "국민들이 주식시장에서 큰 피해를 보고 있는데 수수방관하는 것은 매국노와 다름없다"라며 개인 투자자 보호를 호소했다. 

    지난달 26, 27일 급락한 2차전지 종목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쏟아진 매도 물량 중 불법 공매도 물량은 없었는지 등을 철저히 수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게 한투연 측 입장이다. 

    정 대표는 "지난달 26일 2차전지주를 중심으로 공매도 공격이 동시다발로 쏟아졌다"며 "사전에 철저하게 준비된 주가 조작 범죄일 가능성이 거의 100%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폭락 와중에 무차입 공매도가 자행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26일과 27일,공매도 금지 기간이었음에도 시장조성자 공매도가 2200억원 가량 쏟아졌는데 이 부분에 대해 금감원과 거래소는 즉각 합동 조사를 실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무차입 공매도는 민생을 파괴하는 흉악한 범죄행위"라며 "이복현 금감원장은 국내 주식시장의 무차입 공매도 퇴출에 올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차후 실제로 주가가 떨어지면 하락한 주가로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앞서 지난달 26, 27일 이틀간 에코프로그룹주를 비롯해 일부 2차전지주의 주가가 하루사이 최대 20% 급락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였다. 

    에코프로의 주가는 7월 26일 19%까지 치솟은 153만9000원으로 신고가를 경신한 후, 순식간에 20% 이상 급락한 122만80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후 27일엔 19.8% 급락한 98만5000원을 기록했다.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등 대표 2차전지 관련주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난 바 있다. 

    업계에선 개인의 차익실현 욕구로 매도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으나, 일각에선 작전세력이 개입됐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 바 있다. 

    한투연 측은 현 공매도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도 요구했다. 

    정 대표는 "외국인과 기관이 공매도의 99%를 점유하며 특혜를 받는데, 이는 개인투자자에게 매우 불리하다"며 "공매도 상환 기간을 통인하고, 공매도 담보비율도 일본처럼 130%로 통일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금융위가 2019년 상반기까지 무차입 공매도 적발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지만 오리발을 내밀고 있다"며 "정부는 공매도 개혁 작업에 즉각 착수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