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1만9600명·클라우드 1만8800명 등으로 많아정부 '인재양성TF' 꾸려 대응… 중소·스타트업 맞춤 지원
  • ▲ 30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서 한 관람객이 농협은행의 AI 캐릭터 및 AI 은행원 서비스를 체험하고 있다.ⓒ연합뉴스
    ▲ 30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서 한 관람객이 농협은행의 AI 캐릭터 및 AI 은행원 서비스를 체험하고 있다.ⓒ연합뉴스
    오는 2027년까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등 4개 주요 신기술 분야에서 총 6만여 명에 달하는 대규모 인력 부족이 발생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3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에서 4개 주요 신기술 분야에 대한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전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도출했다. 이후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 등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앞으로 5년간의 수준별 신규인력 수요·공급과 수급차를 전망했다.

    결과에 따르면 5년간 4개 신기술에서 부족한 인력은 총 5만9600명이다. 분야별 인력 부족은△빅데이터 1만9600명 △클라우드 1만8800명 △AI 1만2800명 △나노 8400명 등의 순이다.

    빅데이터 분야는 디지털 혁신의 기초인 데이터의 중요성이 전 산업으로 확산하면서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데이터 인력(융합데이터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확대할 것으로 예측됐다. 초·중급 인력의 공급은 수요보다 4300명을 초과하지만, 산업에 가장 필요한 고급 인력은 2만39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됐다.

    클라우드 분야는 운영부터 개발에 이르기까지 전반에 걸쳐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지속 확산하며 시장을 크게 키워나가고 있지만, 서버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은 모두 부족해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됐다. 6만2600명에 달하는 인력수요에 비해 공급은 4만3800명에 그쳐 1만8800명의 빈자리가 생긴다는 계산이다.

    AI 분야는 고급 인력의 해외유출로 인한 인력난이 심화할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AI 기술은 의료·금융·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국제적으로 중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이에 연구·개발(R&D) 등을 전담할 고급 인력이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초·중급 인력의 수급은 원활하지만, 고급 인력의 경우 1만6600명의 공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나노 분야는 디스플레이·에너지·바이오헬스 등 첨단분야가 성장하며 이를 응용한 나노 기술인력의 수요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초·중급 인력과 고급인력 모두 부족해 총 8400명의 수급차가 벌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 전담반(TF)' 등을 꾸려 관련 부처와 함께 인력 양성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전망 결과를 '첨단산업 디지털 핵심실무인재 양성훈련(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의 규모·내용에 적극 반영한다.

    특히 청년층의 잦은 유출로 인력난이 더욱 심각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도 시행한다. 정부는 기업이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과 조직문화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황성수 직업능력연구원 미래인재연구본부장은 "전망 결과와 현장의 실제 수급차 간 비교·분석 등 전망 기법을 계속 고도하겠다"며 "포럼에서 나온 기업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부 인력양성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