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8~29일 쟁의행위 찬반투표 75.07% 가결중노위 조정중지 결정 받으면 파업수순 구체화사측, 수차례 대화 제안 및 수정안 제시 노력
  • ▲ 포스코 노조가 최근 쟁의행위 안건을 가결시키면서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연합뉴스
    ▲ 포스코 노조가 최근 쟁의행위 안건을 가결시키면서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가 1968년 창립 이후 55년만에 첫 파업 위기를 맞았다. 노조가 이달 28~29일 실시한 전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투표는 75.07% 찬성으로 가결됐다. 

    노조는 조만간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조정중지 결정을 받으면 파업 카드를 앞세워 사측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노조에 대한 시선은 싸늘하다. 파업을 하는 명분, 정당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정서가 깔린 것으로 판단된다. 

    포스코 노사는 올해 5월부터 10월까지 24회에 걸쳐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진행했다. 그런데 교섭 과정을 보면 노조는 ‘파업’이라는 답을 이미 정해뒀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달성 성과급 200% 신설 ▲조합원 문화행사비 20억원 지원 등의 요구안을 고수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지난 27일 종가 기준 42만3000원이다. 이를 감안하면 자사주 100주는 4000만원이 넘는 금액으로, 사측이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다. 

    여기에 기본급 인상 등 다른 조건까지 더해지면 포스코가 감당해야 할 금액은 총 1조6000억원, 1인당 9500만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을 하면서 지난 8월 21일과 10월 5일 두 차례에 걸쳐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사측이 노조에 대화를 제안하고 여러 차례 수정안을 제시하면서 설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인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특히 사측은 이달 초 교섭에서 ▲기본임금 인상 16만2000원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 현금 15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등의 내용을 담은 최종안을 제시했다. 
  • ▲ 노조가 지난달 6일 쟁대위 출범식을 진행한 모습. ⓒ연합뉴스
    ▲ 노조가 지난달 6일 쟁대위 출범식을 진행한 모습. ⓒ연합뉴스
    게다가 유연한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격주 주 4일제 시행 및 경영성과금, 직무급제, 복리후생제도 개선과 관련한 노사합동 TF 구성도 추가했다. 

    사측은 철강 업계 불황이 지속되면서 올해 쉽지 않은 시기를 보내고 있음에도 상생을 위해 노력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 여파로 포항제철소가 침수되면서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겪었고 작년 4분기에는 425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도 1분기 7047억원, 2분기 1조326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8.8%, 36.8% 하락한 실적을 올렸다. 3분기에는 1조1960억원으로 33.3% 증가했지만 이는 포항제철소 침수 등 기저효과가 작용한 결과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의 제안을 “요구안에 미흡하다”며 일축했고, 파업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포스코지주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 등 포항 지역사회는 지난해부터 포스코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만 노조 파업 가능성 등 포스코의 대내외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이달 24일 예정됐던 대규모 상경집회를 연기한 것과 대조적이다. 

    노조는 최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앞두고 호소문을 통해 “철강이 힘들어지면 누가 우리를 지켜주겠습니까? 우리 스스로 지켜낼 힘이 있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

    건설 등 전방 산업의 부진으로 철강 업계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 전기료 가격 인상 가능성 등도 남아있다. 이런 상황에서 창사 첫 파업을 해야하는지, 노조가 오히려 위기를 심화시키는 게 아닌지 의문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