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커머스 CIC 조직 개편·흡수독립성보다는 효율성, 통제 추구자율경영 기조 끝, 중앙집권 서막
  • ▲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 ⓒ뉴데일리
    ▲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 ⓒ뉴데일리
    카카오 조직개편이 CIC(사내독립기업)를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자율성을 기반으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기보다는 효율적 통제를 우선하는 기조가 반영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CIC 조직을 본사로 흡수하거나 재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CIC는 사내 벤처, 스타트업과 같은 개념으로 경영 전반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본사 입장에서는 당장 수익성을 추구하기보다는 미래 먹거리 발굴에 투자한다는 의미다. 카카오에서는 대표적으로 엔터프라이즈와 헬스케어가 CIC 조직으로 시작해 성장을 거쳐 분사하거나 별도 법인이 된 성공사례로 꼽을 수 있다.

    카카오는 지난달 사내 간담회를 통해 포털 다음 사업부문을 콘텐츠 CIC로 재편했다. 조직명을 바꾼 만큼 새 대표로는 양주일 카카오톡 부문장을 내정했다. 

    다음은 카카오가 2014년 9월 인수한 이후 지난해 5월 CIC 조직으로 분리한 바 있다. 당시 CIC로 개편한 건 주요 비즈니스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검색을 위주로 하는 포털과는 사업 방향이 달랐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다음 CIC를 다시 콘텐츠 CIC로 바꾼 이유는 포털로서 기능보다는 숏폼과 뉴스, 카페·스토리 등 콘텐츠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음을 CIC로서 사업을 떼어내거나 구분하지 않고, 본사가 집중하는 부문에 역량을 더해달라는 주문이다.

    앞서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쇼핑하기를 맡은 커머스 CIC를 내부 사업부문으로 흡수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카카오커머스는 2018년 12월 전문 자회사로 독립했다가, 2021년 9월 본사로 재합병되며 CIC 형태로 운영됐다. 2022년 1월에는 커머스 사업부로 흡수했다가 같은 해 8월에는 다시 CIC 체재로 개편한 바 있다.

    커머스 부문을 CIC 형태가 아닌 본사에서 관리하는 목적은 자율성보다는 통제를 우선에 두겠다는 취지다. 중요 사업부문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도와 동시에 공동체(계열사)의 과도한 자율경영으로 인한 폐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미다. 조직개편에 따라 현재 커머스 CIC를 맡은 이효진·양호철 공동대표도 교체될 전망이다.

    AI 사업은 본사 내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카카오는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있을뿐더러, AI 사업을 진행할 때 TF(전담조직) 위주로 추진해온 바 있다. 자회사나 TF에만 맡기기보다는 자체적으로 AI 연구개발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걸로 해석된다.

    CIC나 별도 조직에서 추구하는 독립성보다는 본사 경영 방향에 맞춘 효율성과 통제가 우선시 되는 상황이다. 앞서 그룹 컨트롤타워로서 CA협의체가 계열사들의 투자 집행과 지분매각, 거버넌스 변경 등 프로세스를 보고 받아 검토하는 의사결정 기구로 거듭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업계 관계자는 “계열사 단속에 나선 카카오가 CIC도 흡수, 개편하면서 통제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그간 추구해온 자율경영보다는 중앙집중형 체제로 조직개편 방향성을 확고하게 보여준 모습”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