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천추 신경근병증 통증 美 임상서 약물 내약성, 안전성 확인김선진 대표 "약물 유효성 확인 위한 후속 임상, 기술수출 등 검토"
  • ▲ ⓒ코오롱생명과학
    ▲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생명과학이 지난 26일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KLS-2031'의 요천추 신경근병증(LSR) 통증에 대한 미국 임상 1/2a상 시험 최종결과 보고서를 수령했다고 27일 밝혔다.

    KLS-2031을 투약받은 환자들이 투약 52주차에 이중 눈가림을 해제한 104주차까지 추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에 따르면 투약 104주차까지 임상시험의 1차 목적인 약물의 내약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2차 목적인 104주차의 유효성은 중간결과 보고서(52주차)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투약 52주차에 이중 눈가림 방식과 병용약물 제한이 해제됐기 때문에 유효성 데이터는 보조적인 의미로만 활용 가능하다는 게 코오롱생명과학 측의 설명이다.

    이번 시험은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2020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3년 6개월간 미국 내 기관 두 곳에서 18명을 대상으로 이중 눈가림 및 위약 대조 방식으로 실시됐다.

    대상자들은 KLS-2031의 저용량, 중용량, 고용량으로 구분된 세 종류의 코호트와 위약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됐으며 표적 후근 신경절(DRG) 주변 영역에 경추간공 경막 외 주사가 단회 투여됐다.

    총 연구기간 104주차까지 발생한 중대한 이상반응(SAEs)은 1건(양성 폐 신생물)으로 약물과 인과관계 평가는 '가능성 적음(unlikely)'으로 확인됐다.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TEAEs)을 경험한 대상자 수는 KLS-2031 저용량 투여군 2명, 중용량 투여군 4명, 고용량 투여군 4명, 위약군 5명 등 총 15명이다. 

    이 중 2명에서는 약물과 관련된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이 나타났다.

    고용량 투여군 1명의 대상자에서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상승이 관찰됐는데 경증으로 증상발현 시점 4주차에 회복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외에 위약군 1명의 대상자에게서 두통과 다한증이 나타났다.

    코오롱생명과학은 투약 후 5년차까지의 장기 안전성 및 내약성 데이터 확보를 위한 장기 추적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이번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후기임상 권장용량(RP2D) 선정,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PN) 통증 등 적응증 확대를 위한 약물 유효성 평가 목적의 후속 임상 또는 기술수출 등 다양한 개발 계획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KLS-2031은 뇌로 가는 통증 시그널을 차단하고 주변 면역 환경을 개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로 재조합 아데노부속바이러스(rAAV)와 치료 유전자 3종을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