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 215명에서 110명으로 내부 전열 다지고 쇄신새 정부 들어 재계 대표 지위 '흔들', 향후 행보 관심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회원사 탈퇴와 임대 수익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인력 구조조정을 마무리 하고 전열을 다듬고 있다.


    30일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달 중순까지 총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희망퇴직과 이직, 퇴사 등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의 숫자는 70여명으로 집계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 215명에서 계약직 직원들이 기간 만료와 이직 등으로 한차례 180명으로 줄었고,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한 결과 총 110명의 직원이 남게 됐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생각보다 많은 직원이 전경련을 떠나게 돼 추가적인 인력 구조조정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춸 혁신안 발표 이후 인력 구조조정과 같은 고강도 쇄신 요청이 있었고, 남은 직원들의 임금도 20~40% 삭감됐다는 설명이다.


    전경련 스스로의 이 같은 쇄신 과정을 거치면서 올 초만해도 해체 위기까지 몰렸던 전경련의 활동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경련은 지난달부터 왕성한 대외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18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서밋'에 경제사절단을 파견한 데 이어 25일 권태신 부회장은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일본 경단련 회장을 만났다.


    오는 10월에는 미국상공회의소와 미국 워싱턴D.C에서 1박2일 일정으로 한미 재계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전경련을 국제협력 민간 네트워크 기능으로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으로 평가하고 있다.


    아울러 전경련은 지난 3월 혁신안에서 밝힌 것처럼 회원사 전문경영인 및 외부 명망가 중심의 경영이사회 구성에도 노력하고 있다. 회원사가 대거 빠져나가 이사회에는 현 회장사인 GS그룹과 롯데그룹, 한진그룹 등 기존 회장단회의 출신 12개 기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재탄생 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될 전망이다. 정관 변경을 위한 총회를 열기 위해 경영이사회 구성을 먼저 진행하고, 새 정부의 조직 개편에 따라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개별 기업이 정부 정책에 어떤 입장을 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그동안 민간단체이면서도 정부로부터의 불이익에서 자유로웠던 전경련이 그 역할을 상실하면서 대기업의 목소리를 대변할 기관이 없다는 아쉬움이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를 대신할만한 '대기업위원회' 신설을 추진했던 대한상의는 최근 이를 백지화했고, 최근 경총이 정부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가 공개적으로 비판을 받아 향후 경제인들의 목소리 내기는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권 초기이기 때문에 정부 정책보다는 내각 인선이 우선이니 이를 먼저 지켜보고 내각이 마무리 되면 정관변경을 중심으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게 선결과제"라면서 "나머지 부분은 향후 논의할 문제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경련 회관을 사용해오던 입주기업이 내년 초 이전 계획을 밝히면서 임대가 가능한 40개 층 가운데 15층이 한꺼번에 공실이 될 예정이다.


    회원사 탈퇴에 이어 임대업에도 차질을 빚게 된 전경련은 한꺼번에 15층을 사용할 입주기업을 쉽게 구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 2~4개 층으로 쪼개 임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44층에 위치한 유관기관과 기자실을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저층부로 오는 6월쯤 이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