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한파 영향, 청년 실업률 4년 연속 최고치
  • ▲ ⓒ뉴시스
    ▲ ⓒ뉴시스

    청년층 실업률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가운데, 반년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구직자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구직기간 6개월 이상 실업자는 14만7천명으로 전년 13만3천 명과 비교하면 10.5%(1만4천명) 증가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최대치로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8만명), 외환위기(2000년·13만8천명) 당시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실업자 중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은 14.3%로, 2000년 14.1% 기록을 갈아치웠다.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은 2014년 7.5%에서 2015년 10.0%, 2016년 13.1%를 기록하며 3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00년대 초반 장기 백수 비중은 두자릿 수까지 오른 뒤 2010년 7.0%까지 하락했지만 최근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다.

    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것은 고용 한파가 수년간 잦아질 기미 없이 계속되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2014년 9.0%를 기록한 이후 3년 만에 9.9%까지 상승, 4년 연속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것은 일자리 질이 악화하고 있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기업 일자리가 줄고, 장기 실업자 중 상당수가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해 오랜 기간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 장기 실업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반도체 등 고용 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문을 중심으로 당장 한국 경제의 성장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으로 꼽힌다.

    정부가 추진 중인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이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는 점도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졸업·채용 시즌으로 청년 고용여건이 악화할 수 있다. 일자리사업 조기 집행,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으로 고용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