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들, 연준 점진적 인상 기조 유지할 것으로 예상
  •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 연합뉴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 연합뉴스

    미국의 통화정책 결정 회의가 코앞으로 다가오자 경계심리가 커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0∼2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어 금리를 결정한다.

낙관적인 경제 전망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첫 회의 주재에 나선 제롬 파월 신임 의장 등 연준이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성향이 강해졌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시장 우려가 확산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 위원 중에서 매파적 성향의 위원들이 늘어났고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가 훼손될 가능성도 작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대다수 국내 전문가들은 3월 FOMC의 금리 인상 전망은 시장에 이미 충분히 반영돼 경계감이 낮다며 이번 FOMC는 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으리라고 분석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0일 "연준은 이번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고 연내 금리 정상화를 지속할 것이나 과속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주가 변동성 확대 등 금융시장에 변화 조짐이 있고 파월 연준 의장도 첫 기자회견에서 충격을 줄 정보를 노출하기는 부담"이라고 분석했다.

구혜영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연준이 3월 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내년 물가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것"이라며 "최근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을 고려하면 점도표에서 금리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도 있으나, 연준의 점진적 인상 기조에 따라 금리 전망치 조정은 물가에 대한 자신감이 현실화하는 과정을 확인한 이후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당장 한·미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에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선 5월보다 7월 전망이 다소 높아졌다.

윤 연구원은 "최근 예상보다 국내 경기 하향 압력이 높아진 만큼 한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7월로 밀릴 가능성이 커졌다"며 "일자리 중심의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금리 인상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주열 한은 총재가 연임 이후 '연임과 금리 인상은 별개'라고 발언한 점에서도 연내 한 차례 인상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시기 역시 5월보다 7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지만 현대차투자증권 책임 연구원은 "미국과 기준금리 역전에도 연초부터 물가가 낮고 통상압력은 높아진 데다 정부가 추경을 감행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올해 상반기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크다"며 '7월 인상' 전망을 유지했다.

시장에선 한은이 5월에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하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일자리를 위한 추경 편성은 경기 부양보다 경기 대응 정책의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금리 동결의 요인이 되지 않는다"며 "한·미 금리 역전과 가계부채와 부동산 규제를 위해 한은은 2분기에 금리를 올리고 올해 2차례 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