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상황 급변경기 부양 위해 인하 카드 '솔솔'금융불균형·집값 급등 우려 여전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불가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우리나라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큰 타격을 입으면서 기준금리 인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금리 인하로 선제대응하기에는 시기가 이르다는 분석과 함께 저금리에 따른 부동산시장 과열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개최하고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한다.

    한은이 연 1.25% 기준금리를 그대로 가져갈지, 아니면 가보지 않은 길인 연 1.00%로 내려갈지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연초까지만 해도 금리 동결이 유력했다. 지난해 두 차례 인하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고, 경기 반등론이 조심스레 점쳐져서다.

    이주열 총재도 코로나19가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하기 전에는 "코로나19 사태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확산 정도나 지속기간을 가늠하기 어렵고 금리 인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있어 신중히 판단할 것"이라며 신중론을 펼쳤다.

    한은이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심리 위축 우려에 따라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 대응을 한 것에 대해서는 지금의 상황과 다르다며 선을 긋기도 했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흐름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공포감이 내수를 위축시키고 있어 한은이 금리를 조정해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해진 것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금리 동결을 예상했으나 이후 지역감염이라는 새로운 경로가 발생해 경기 하강 요인이 드러날 여지가 커졌다"며 "2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1.00%까지 인하하는 쪽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다만, 이번에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낼 경우 사상 초유의 연 1.00% 시대가 열린다는 점에서 한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통화정책 여력이 수축한 상태에서 금경기 회복이 더딜 경우 사실상 추가적인 대응책이 없다는 게 문제다.

    금리 인하로 가계부채 확대 등 금융불균형을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저금리가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점도 한은의 추가 인하를 어렵게 한다.

    한편 한은은 같은 날 수정경제전망도 발표한다. 

    코로나19로 실물경제 타격이 현실화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도 불가피해졌다.

    이미 글로벌 투자은행과 신용평가사 등 국내외 주요 기관들은 이미 한국 경제성장률을 잇따라 낮춰잡고 있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제시한 전망치는 2.3%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