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장 "정경유착 의심 구성원은 어떤 경우든 물러나야"김병준 전회장 직무대행, 한경협 고문 두고 우회비판 풀이
  • ▲ 이찬희 준법감시위원장ⓒ 연합뉴스
    ▲ 이찬희 준법감시위원장ⓒ 연합뉴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로 새출발하게 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인적쇄신'을 강조했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어떤 경우든 정경유착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인적구성원은 다 물러나야 한다"며 "인적쇄신이 가장 중요하며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 줘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 위원장은 "전경련이 정경유착 고리를 끊고 기업이익을 보호하고 기업을 대변하는 직역단체로 자리 잡으려면 관계된 분들이 스스로 그 기회를 줘야 한다"며 "안에서 혁신작업을 벌일 때까지 외부인이 와서 자문할 수는 있지만 그 작업이 끝나고 넘겨준다면 완전하게 독립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는 과거 정치권에 몸 담았던 김병준 전회장 직무대행이 한경협 출범이후에도 고문으로 남은 것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2일 전경련은 출범 55년만에 한경협로 명칭을 바꿨다. 삼성·SK·현대차·LG 4대그룹이 2016년 국정농단사태로 탈퇴한 이후 7년만에 복귀하며 새로운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4대그룹 전경련 재가입은 정확히는 전경련은 탈퇴했지만 한경협 회원사로 남아 있던 이들 그룹 계열사가 한경협 회원으로 지위가 승계되면서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됐다.

    이에 삼성 준감위는 전경련 임시총회를 앞두고 삼성전자 등 협약사에 전경련 혁신안 실천의지 등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결국 준감위는 두차례 임시총회를 열고 △정경유착 등 발생시 즉시탈퇴 △회비·기금 사전승인 △한경협 연간 활동보고 3가지를 권고안을 내놨다.

    특히 한경협 회비운영 내역을 비롯해 회계투명성에 대해 철저하게 검토할 방침이다.

    이 위원장은 "통상적인 회비는 당연히 보고, 특별회비든 어떤 명목이든 전경련에 들어가는 돈이 어떻게 사용되고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검토할 것"이라며 "삼성에 준감위가 존속하는 동안 명분 없는 후원은 없다"고 강조했다. 한일 미래파트너십 기금 등에 대해서도 철저히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이 위원장은 "지금 외형자체가 벌써 정경유착 고리가 있는 것처럼 의심받을 수 있다"며 "안이 아니라 밖에서 자문하는 게 더 객관적이고 도움이 될 것이며 그것이야말로 조직에 대한 애정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 외형자체가 벌써 정경유착의 고리가 있는 것처럼 의심받을 수 있다"며 "의심받을 일은 만들지 않는 게 제일 좋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삼성이 속할 직역단체는 전경련이라는 입장도 피력했다.

    이 위원장은 "직역단체는 구성원을 보호하고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존재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며 "재계 여러 기업 이익을 조화시켜 대변해 줄 수 있는, 기업간 조정과 균형을 이룰 단체가 필요하고 그런 의미에서 전경련은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중국, 미국, 일본, 대만 등 삼성이 경쟁할 상대가 너무 많은데 일일이 삼성이 다 경쟁하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이고 국가적으로 크게 해결해줘야 할 부분도 있다"며 "전경련이 과거 잘못이 있다고 해서 이제 그만인 게 아니라 다시 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서 추진·실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정경유착 재발에 대한 우려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준 고문은 전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재용 회장을 사전에 만나 전경련 복귀를 요청했다고 소개하면서 "이 회장도 여러 의심 내지는 의구심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미르·K스포츠 재단 사태 같은 것이 또다시 일어나지 않겠는지, 그럴 경우에 과연 방어장치가 있는지 등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이런 정경유착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정경유착 등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내부통제시스템인 윤리위원회 설치를 정관에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또 위원선정 등 윤리위원회 구성과 운영사항 등 시행세칙 마련은 추후에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부당한 압력을 원천 차단할 방법은 무엇인지, 단순한 협조 요청과는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 압력이 현실화할 경우 대처 방안은 무엇인지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재계 관계자는 "윤리위를 만들고 단순권고만 하는 수준이라면 또 다시 지난 정경유착 사건들이 재현될 것"이라며 "최우선순위로 윤리위를 구체화해 재계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