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發 상향조정 제안에 의료진 '화들짝'847만명 21년 추적 관찰 연구 결과 '후폭풍'젊은 당뇨 급증, 엄격한 비만 관리 필요한 시기
-
국내에서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이면 통상 '비만'으로 분류되는데 이를 27로 상향조정·완화해야 한다는 정책 연구가 나왔다. BMI(Body Mass Index)는 몸무게(㎏)를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 기준에 가장 널리 쓰이는 척도다.이를 두고 비만을 전문적으로 보는 의사들의 반발이 거세다. 통계적 비만환자는 줄일 수 있겠지만 국민 의료비 지출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다. 오히려 더 견고한 비만 기준을 설정해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15일 이철진 비만연구의사회장은 뉴데일리를 통해 "아직 우리는 비만이라는 질환의 개념, 인식도 구체적이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BMI 기준을 완화하는 것은 비만 관리를 하지 않아도 의미로 받아들일 개연성이 있다"고 우려했다.그는 "여전히 BMI 23~25 사이에서 만성질환 발생하고 있으며 아무리 서양화된 체형으로 변했다고 하더라도 췌장의 크기나 당뇨의 발생, 여러 조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는 것이 현실"이라고 주장했다.앞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002∼2003년 일반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847만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하며 "비만 기준을 기존 BMI 25 이상에서 27이상으로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했다.관찰 시작 시점 이후 6년 내 사망자를 제외한 분석 결과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고, 저체중인 BMI 18.5 미만과 3단계 비만인 BMI 35 이상에선 BMI 25 구간 대비 사망 위험이 각각 1.72배, 1.64배로 높게 나타났다.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포함한 심뇌혈관질환과 BMI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BMI 25 구간을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이 회장은 "공단이 제시한 하나의 자료를 근거로 BMI 수치를 완화하는 결정에 다다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 현장과의 괴리가 분명히 있는 것이고 국내 대다수 비만을 보는 의사들은 BMI 25에서 후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볼 것"이라고 판단했다.특히 BMI 자체로 비만은 판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그는 "의사회 차원에서 BMI 25이면서 복부 비만을 가진 만성질환자 그룹에 대해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를 근거로 비만 기준을 더 견고하게 설정하는 지침을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특히 "젊은 당뇨환자의 발생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달았고 당뇨 전 단계까지 고려하면 비만 관리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이라며 "그런데도 시대에 역행하는 BMI 기준 완화가 거론됐다는 것이 심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대한비만학회도 비만 기준을 현행 BMI 2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성명을 냈다.학회는 "BMI 기준을 사망률과의 연관성만을 근거로 설정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비만 관련 질환 위험을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다"며 "비만 합병증 동반 위험을 선별하기 위해 진단기준을 반드시 현재의 BMI 2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