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 대표의 [대성일갈], 국민앞에 자제했어야[모르쇠] 일관 현재현 회장, 도대체 무엇을 사과한 것인가?
-
-
- ▲ 현재현 회장은 국감장에서 연신 "죄송하다"면서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의 최고 이슈는
단연 [동양그룹 법정관리 사태]였다.
이 자리에는
범국민적 지탄을 받고 있는
현재현 <동양그룹> 회장과
김철 <동양네트웍스> 대표,
정진석 <동양증권> 사장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동양사태] 관련 세 명의 증인 중
국감 증인으로 참석한
현재현 회장과 김철 대표의
상반된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현 회장은
몸을 한껏 움츠리다 못해
바짝 엎드린 자세로 일관했다.
국감을 진행한 모든 의원들은
약속이나 한 듯
현 회장에 대한 질타로 말문을 열었고
그 때마다 현 회장은
“국민께 피해를 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을
계속 반복했다.
심지어 그는
쉬는 시간에도
고개를 숙인 채 증인석을 지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 (사진=연합뉴스) 자신의 학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김철 대표는 국감장에서 젊은 기업인다운 패기(?)를 유감없이 발산했다.
반면, 김철 대표는
“대학 나오지 않은 사람은 기업 대표도 못하느냐”고
당당하게(?) 항변함으로써
젊은 기업인의 패기(?)를 온 천하에 떨치는 모습을 보였다.
학벌 타파도 좋고,
젊은 기업인의 당당함과 패기도 좋다.
본인의 콤플렉스일 수도 있는 학벌 문제가 제기되면서
순간적으로 울컥 할 수 있는 그 심정 또한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김철 대표는
[버럭버럭]하고 싶은 본성을
그 자리에서 드러내지 말았어야 했다.
학연이며 지연이며 혈연 등에 대해
논하는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동양 사태]라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했고,
이 사태에 대해
동양 임원진들이
국민에게 해명해야하는 자리였다.
1975년생으로 아직 30대인 김 대표가
동양그룹 총수와 혈연관계도 아닌데
어떻게 젊은 나이에 계열사 대표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는지
담담하게 국민에게 설명했으면 됐을 자리였다.
이 상황에서 [버럭버럭]으로 나오는 것은
국감을 지켜보는 피해자와 국민에 대한 도리도 아니거니와,
“뭔가 꿀리는 바가 있기 때문에 저러는 것이다”
라고 받아들이게 할 여지가 될 수도 있다.
[굽실굽실] 자세로 나온
현재현 회장의 행위는
일견 충실히 반성하는 자세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기자의 눈에는
[영혼 없는 행동]으로
비춰질 뿐이었다.
“죄송하다”를 연발하는 현 회장의 말에는
항상 이런 말이 뒤따랐다.
“하지만
동양그룹이 법정 관리는
저도 예측하지 못했던 일이다”
“저는 정확히 잘 모르는 일이다”
현 회장의 [모르쇠]가 사실이라면
동양그룹은
보고체계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허술한 회사라는 결론이 나오고,
거짓일 경우
국감장에서까지 국민을 우롱하는 행위를 한 셈이 된다.
사과는 했지만,
자신은 아무것도 모른다는 현재현 회장.
도대체 무엇을 사과한 것일까?
굽실굽실 회장님과
버럭버럭 사장님.
이들은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조차 스스로 차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