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가공과학회 측 국감서 나온 발표 '정면 반박'
  • ▲ 국내서 판매되는 조제분유 나트류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 국내서 판매되는 조제분유 나트류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시중에 판매되는 분유 제품에 대해 '나트륨이 초과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아가 섭취하는 제품이라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나트륨 초과'라는 내용은 잘못됐다는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측의 주장이 등장했다.

7일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위 4개업체의 분유제품을 비교 분석한 결과6개월 이하의 영아가 먹는 분유 27개 모든 제품에서 1일 나트륨 충분 섭취량(120mg)을 107%~183%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며 분유의 나트륨 저감화 필요성을 주장했다.

인 의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0~6개월 영아 대상으로 판매되는 4개 제조회사 분유 성분을 분석한 결과 27개 모든 제품에서 1일 나트륨 충분섭취량(120mg)을 초과했다. 제조사의 제조방법에 따라 일일 나트륨 섭취량을 계산해 본 결과 N업체 128mg~200mg, M업체 108.8mg~210mg, H업체 116.5mg~195mg, P업체 128mg~210mg로 나왔다. 1일 나트륨 충분섭취량이 107%~183% 초과한 것이다.

인재근 의원은"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약 4000mg으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량 2000mg의 2배에 이른다"며 "외국 논문에 따르면 과다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신장질환, 위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고 간접적으로는 비만, 신장 결석 및 골다공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나트륨의 심각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인 의원의 주장에 대해 유가공과학회 측의 입장은 "기준을 잘못 이해해 발생한 일로 국내 분유가 더 짜다는 것은 잘못된 내용"이라는 것이었다.

학회 측에 따르면 나트륨은 모든 포유류의 모유에도 함유되어 있는 필수 영양성분으로 모유에는 보통 13.7 ~ 32.9 mg/100ml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고, 이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국내 모유 나트륨 함량 연구 결과를 보면 연구 결과마다 13.7~32.9㎎/100㎖로 각각 달랐다.

인 의원이 주장한 나트륨 섭취 기준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2010)'으로 0~5개월 영아는 120mg/일, 6~11개월 영아는 370mg/일로 충분섭취량을 설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학회는 "일반적으로 신생아와 5개월된 유아의 하루 분유섭취량은 2배나 차이나 나는데도 나트륨 섭취량을 통일하게 120mg/일로 설정한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며 영아는 성장발달에 맞춰 과학적으로 나트륨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군다나 인용한 기준에서의 충분섭취량은 영아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하여 충분히 섭취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써, 유해물질과 같이 이보다 적게 섭취하라고 상한치를 규제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영아의 경우 조제분유를 통해 나트륨을 충분히 섭취해줘야 건강한 성장발달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충분섭취량이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충분섭취량을 마치 상한기준치로 해석해 소비자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는 내용이었다.

인재근 의원은 "많은 전문가들은 만 4세까지를 평생의 입맛을 형성하는 시기로 본다. 영아때 먹는 분유에서 부터 짠맛에 길들여진다면 식습관을 개선하기 힘들 것이다"며 "분유도 나트륨 함량에 대한 정확한 지침을 만들어 국민 나트륨 저감화에 노력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학회 측은 "국내 조제분유 나트륨 규격이 국제적 규격에 부합하며 모유의 수준"이라며 "CODEX, EU, FDA 및 국내 법적규격을 확인해보면 모두 13.8 ~ 41.4 mg/100ml 로 동일하고 국내 조제분유의 나트륨 함량을 산출해 보면 20.0 ~ 21.0 mg/100ml로써 오히려 법적 규격대비 하한 수준이며, 모유 수준(13.7 ~ 32.9 mg/100ml)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혀 해당 논란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