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국민소득 늘었지만… 부채 증가 빠르고 세금·주거비 올라
  • ▲ 국민소득이 늘었으나 빠른 부채 증가와 주거자금의 인상 탓에 소비로 연결되진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모습. ⓒ 연합뉴스
    ▲ 국민소득이 늘었으나 빠른 부채 증가와 주거자금의 인상 탓에 소비로 연결되진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모습. ⓒ 연합뉴스

    한국인의 소득 및 재산의 양극화는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소득이 늘어나도 빚을 갚고 주거 자금을 마련하느라 소비할 돈이 없어서다.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은 13일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다. 이 자료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보유자산은 3억3364만원, 부채는 5994만원이다. 자산은 지난해에 비해 2.1%, 빚은 2.3% 증가했다.

평균 소득과 지출은 각각 4676만원, 3151만원을 기록해 1525만원의 흑자를 냈다. 가구의 평균 소득은 2012년에 비해 4.4% 증가했지만 가구소비 중 소비지출은 2307만원으로 0.2% 늘었다. 소득이 늘어났음에도 소비를 늘리지 못한 것이다. 

  • ▲ ⓒ 한국은행 제공
    ▲ ⓒ 한국은행 제공

  • ◇ 빚더미에 빠진 50대·자영업자

    가구주의 연령대별로 분류했을 때 50대 가구의 부채가 가장 많았다. 50~59세 가구주를 둔 가구의 부채는 올해 7911만원으로 전체의 33.2%를 차지했다. 이어 40대 가구주를 둔 가구의 빚이 6824만원으로 조사됐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는 자영업자 가구가 8995만원의 부채를 보유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용근로자 가구가 6624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가 2541만원의 부채를 지고 있었다. 

    하위 20%에 해당하는 소득 1분위 가구는 1296만원의 부채를 보유한 반면, 상위 20%에 속하는 소득 5분위 가구는 1억 3930만원의 부채를 보유해 전체 부채의 46.5%를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는 59.1%에 달했다. 금융부채 보유가유의 평균 소득은 5399만원, 자산은 3억6511만원이었으며 금융부채는 6926만원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가구가 70.6%, 40대 가구가 72.3%의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60세 이상 가구는 34.7%가 보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부채 보유액은 50대 가구가 801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가구가 6969만원, 60세 이상이 6831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 보유가구가 가장 높은 집단도 자영업자가 차지했다. 자영업자 가구 중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69.7%를 차지했다.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근로자 가구의 68.3%, 52.8%도 금융부채를 갖고 있었다.

    이들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1.8%로 집계돼, 전년에 비해 1.6%포인트 증가했다. 매우 부담스럽다고 답변한 가구는 24.3%였으며 약간 부담이라고 답한 가구는 47.5%로 나타났다. 

    원금상환 및 이자지급이 부담스럽다고 답한 가구들 중 79.5%는 가계 저축은 물론이고 지출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한국은행 제공

  • ◇ 세금·보증금 올랐는데, 소득 늘면 뭐하나…

    소득이 늘었음에도 소비로 연결되지 못한 이유는, 각종 사회보험이나 세금 등 비소비지출에 대한 부담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공적연금·사회보험료는 274만원으로 전년보다 5.7% 늘고 세금 역시 206만원으로 7.1% 증가했다. 

    전세가 및 보증금 등 주거비용의 상승도 소비를 가로막는 원인이 됐다. 

    여유자금을 저축하거나 금융상품에 투자한다고 답한 응답자들 중, 그 이유를 주택 구입이나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해서라고 답한 응답자는 17.6%로 전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노후 대책(53.3%)은 전년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소비지출을 세부 내역별로 보면 식료품(633만원), 교육비(334만원), 주거비(303만원), 교통비(270만원), 의료비(148만원), 통신비(175만원) 순이었고 기타지출은 445만원이었다. 

    전년과 비교할 때 교육비는 1.6% 줄었으나 의료비는 6.8% 늘어났다.

    정문갑 한은 통계조사팀 차장은 “빚을 갚으려면 소득이 있어야 한다. 소득에서 세금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중이 작년보다 높아졌다. 상환부담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향후 경기 회복 노력을 지속하면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 구조개혁을 차질없이 추진해 경제 체질 개선 노력을 하겠다”면서 “가계소득 증대 3대 패키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맞춤형 급여 체계 개편 추진 등 가계소득 증대를 위한 정책노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