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교육청은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중소서점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지난 2일 밝혔다. ⓒ 연합뉴스
    ▲ 서울시교육청은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중소서점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지난 2일 밝혔다. ⓒ 연합뉴스

     


    서울시교육청은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중소서점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이 건당 1천만원 미만의 도서를 구매할 때 인근 동네서점을 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도서관의 한 해 도서 구입비는 21개 공공도서관(35억원)과 1333개 학교도서관(130억 원)을 합쳐 총 165억 원 규모다.

    백원근 한국출판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액수가 많고 적고를 떠나서 지역 서점이 공공도서관에 납품하게 된다면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지역 서점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동안 공공도서관들은 최저가로 책을 구입하다 보니 할인 폭이 큰 대형 업체들과 거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최대 할인 폭을 15%로 묶은 도서정가제가 시행됨에 따라 지역 서점과 거래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양수열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책위원장은 "의정부시의 도서 구매 예산이 연 3억 원 정도 된다. 공개입찰을 하면 300∼400개 업체가 몰린다"며 "그러다 보니 동네서점들이 낙찰 받을 확률이 적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지자체가 도서 구매 방식을 연차계약에서 분할계약으로 바꾸면 더 많은 예산을 지역 서점 구매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교육청의 이런 조치에 동네 서점들은 반기는 분위기다. 동대문구에서 33년째 동네 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한우리문고 김의수 대표는 "2009년에 한 구립 도서관과 도서 납품 계약을 했지만 대형 서점에서 더 싸게 해주겠다는 바람에 3년 만에 계약이 끊어진 적이 있었다. 우리 입장에선 수백만 원대 작은 도서 구매라도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서울 종로구에서 2대째 서점을 운영해 온 조주현 유한서적 대표는 "서울시교육청이 인문학·글쓰기 강좌, 독서 동아리 개설 등 지역 도서관 운영에도 동네서점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렇게 되면 지역에서 서점을 열려는 사람들이 다시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서울시에 이어 지자체들도 속속 동네서점과 상생 방안을 내놓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는 지난달 관내 10개 공공도서관의 올해 도서 구입 예산 가운데 10억 원 가량을 20개 지역 서점에 쓰도록 방침을 세웠다. 뒤따라 경기도 고양시가 32개 관내 공공도서관에 필요한 연 7억5000만원 규모의 도서를 모두 고양시의 중소서점에서 구입하기로 했다.

    서울 관악구도 지난달부터 20개 주민 센터 도서관에 필요한 연 8000만원 가량의 도서를 동네서점에서 사기로 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의정부·부천·전주시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구체적인 방식을 문의하는 걸로 봐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서는 지자체가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부천시도 동네서점 살리기에 동참키로 했다. 3일 시에 따르면 지난 2일 동네서점 대표자 10명과 간담회를 갖고 관내 도서관의 필요 도서를 동네서점에서 납품 받기로 했다.

    부천시는 이를 위해 올해 시립도서관의 경우 8억5000만원을, 작은 도서관의 경우 3억원 등 총 11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예산으로 시립도서관은 각 서점 당 5000만원 미만 어치를, 작은 도서관은 각 서점 당 1000만원 미만 어치의 도서를 구입한다.

    시는 그러나 관내 동네서점의 정확한 개수 파악이 어렵다는 점을 들어 서점 당 도서구입비는 변경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동네서점 대표들은 조만간 서점연합회 부천시지부를 설립해 도서 납품 능력이 있는 동네서점을 정확히 파악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한 쪽의 노력만으로는 지속되기 어렵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지속적 상생을 위한 방안 마련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골목서점은 2013년까지 최근 6년간 서울에서만 93곳, 전국적으로는 906곳이 사라졌다. 전용면적 66㎡(20평) 미만의 소형 서점은 반 토막(787곳)으로 줄었다. 반면 330㎡(100평) 이상 대형 서점이 같은 기간 278곳에서 318곳으로 오히려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