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무인도 홍도.ⓒ연합뉴스
해양수산부가 무인도서 정보를 포털사이트 네이버에만 독점적으로 제공해 특혜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의 무인도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도 부작용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는 실태조사를 벌여 확보한 무인도서 정보를 2017년까지 해양수산부 연안포털(www.coast.kr)에 집적해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하지만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같은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누리꾼들이 굳이 연안포털에 방문할지 의문이 제기된다. 수년간의 섬 조사작업 등 재주는 해양수산부가 부리고 페이지뷰 향상 등의 실익은 네이버가 챙기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2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정부는 총 35억원을 들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무인도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벌인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무인도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해양수산부는 실태조사를 통해 2400여개 섬의 이름과 면적, 육지와의 거리, 지형·지질, 동·식물 생태계 정보, 사진 등을 축적했다. 해양수산부는 이들 자료를 토대로 섬의 절대 보전지역, 이용 가능지역 등 관리유형을 지정할 계획이다.
자료는 해양수산부 연안포털에 집적된다. 해양수산부는 2017년까지 연안포털의 무인도서 관련 자료를 지속해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하지만 해양수산부가 무인도서 정보를 네이버에 제공하기로 하면서 해양수산부가 스스로 연안포털의 무인도서 종합정보시스템 기능을 약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터넷업계 한 관계자는 "동일한 자료를 해당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지 않고도 포털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면 누가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하겠느냐"며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보다 해당 웹사이트에서 직접 얻는 정보가 더 많고 충실해야 방문하게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공공정보를 민간에 개방해 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방법상의 문제"라며 "(해양수산부가) 수십 억원을 들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원천 정보를 특정 포털업체에서 별다른 제한 없이 활용하게 하는 것은 연안포털 방문자를 스스로 막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가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편집하고 가공하면 온라인상에서 누리꾼에게 최종적으로 노출되는 콘텐츠의 양태는 바뀌겠지만, 원천 정보가 같아 자료에 차별성이 없다 보니 일부러 연안포털을 방문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거라는 것이다.
네이버의 일부 폐쇄적인 콘텐츠 활용 방식이 이런 우려를 낳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 따른 인터넷업계 관계자는 "구글이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그대로 연결해주는 오픈 방식이라면 네이버는 일부 콘텐츠를 가두리 양식처럼 네이버 안에 가두어 놓고 활용하는 형태를 취한다"면서 "정부기관이 공공정보를 공개할 때는 공평한 오픈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일반인들은 연안포털이 있는지도 잘 모르는 상황으로, 무인도서 정보를 네이버 포털에 제공한 것은 국민 알 권리를 충족하고 정보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며 "네이버 검색 때 자료의 출처는 물론 (연안포털) 링크가 이뤄지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연안포털 일일 방문객 수는 2383명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