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환 국토교통부 차관은 "해외주요국은 이미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시티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기술 수준이 높다"라며 "스마트시티 기술 선점에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환 차관은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K-Smart City 수출추진단 제2차 운영위원회'에 참석해 "한국형 스마트시티 발전은 한 부처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관계부처는 물론 민간기업이 합심해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해외 각국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에 대해 관계기관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관계부처인 미래부·산업부·환경부와 LH·한전·수공·LX·KOTRA 등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스마트시티는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 미래전략이다. 정부는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스마트시티를 향후 대한민국 성장을 이끌 9대 전략프로젝트 하나로 선정했다. 2021년까지 총 33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현재 스마트시티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적 토대는 마련됐다"며 "수출단을 중심으로 유기적 협업을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개도국은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선진국은 기후변화 대응·도심 재생 차원에서 스마트 도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경환 차관은 "그동안 노력으로 시장에선 호의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며 "급격한 도시화 문제를 겪고 있는 중동·중남미·동남아 신흥국도 한국형 스마트시티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도 국내 도시개발 체계와 ICT(정보통신기술) 등을 결합해 스마트 시티 모델을 구축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문인력 보강과 금융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했다.
특히 국내 스마트시티 모범사례를 축적해 경쟁력을 확보한다. △신도시내 특화형 단지(판교·동탄) △친환경 에너지타운 △에너지중심 도시를 모범사례로 추진한다. 또 대상국가 지역적 특성과 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차별화된 모델로 해외시장에 진출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신도시 △에너지 신산업 △친환경 물산업 △스마트 교통 △ICT 솔루션 등으로 구체화한다.
정부는 쿠웨이트와 볼리비아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을 앞두고 있다. 해당국과 적극협의하고 한국 기술에 대한 긍정적 여론을 확대해 추가적인 사업을 발굴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지난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쿠웨이트 사우스 사드 알 압둘라 신도시 마스터플랜·실시설계용역을 국제입찰 형식으로 발주 공고한 바 있다.
김경환 차관은 "국내 모범사례를 해외에 적극적으로 홍보해 해외진출 계기를 늘려가겠다"며 "국민이 실제 생활에서 스마트시티를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