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우리나라는 내후년인 2018년에야 선진국의 상징인 1인당 국내총생산(GDP) 3만달러 고지에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062만 달러 돌파 이후 12년 만으로 다른 선진국 평균(8.2)에 비해 4년 가량이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2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중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GDP201527214달러에서 3년 후인 201831744달러로 3만달러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오는 20203만달러(3317달러)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2년 가량 빠른 것이다.

    예산정책처는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시산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2.6%, 20172.8%, 20182.9%, GDP디플레이터 상승률은 1.2%1.3%, 1.4%로 각각 추정했다.

     

    /달러 환율은 올해 1,155원에서 내년 1,110, 20181,081원으로 내려가고, 총인구는 올해 580만명에서 내년 598만명, 20185129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20183만달러 고지에 올라서면 이는 20062만달러대에 진입한 이후 12년 만이다.

     

    전 세계 190여개 나라를 대상으로 1인당 GDP(IMF 자료 기준)를 분류해보면 2015년 기준 3만달러를 넘는 곳은 25개국이다.

     

    이중 룩셈부르크(101994달러), 스위스(8675달러), 노르웨이(74822달러) 11개국은 5만달러가 넘었고, 스웨덴(49866달러), 영국(43771만달러), 네덜란드(43603달러) 9개국은 4만달러대, 프랑스(37675달러) 5개국은 3만달러대였다.

     

    3만달러대 진입을 앞두고 있는 2만달러대 국가는 이탈리아(29867달러), 쿠웨이트(29363달러), 한국(27214달러), 스페인(25865달러) 13개국이었다.

     

    산유국이나 규모가 작아 특수성이 있는 국가를 제외하고 1인당 GDP 2만달러에서 3만달러 달성까지는 평균 8.2년이 소요됐다. 우리나라(12)와 비교하면 3분의 2에 불과한 셈이다.

     

    3만달러 달성까지 가장 짧은 기간이 걸린 나라는 스위스(2)였고, 룩셈부르크(3), 스웨덴·뉴질랜드(4), 노르웨이·호주·독일·일본(5) 등도 짧은 편에 속했다.

     

    반면 캐나다는 15년이 걸렸고,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13), 싱가포르(12), 영국(10) 등은 오랜 기간이 소요됐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각각 2004년과 20073만달러대에 진입했다가 재정위기 등으로 다시 2만달러대로 미끄러졌다.

     

    1인당 GDP 2만달러에서 3만달러대 진입에 성공한 나라들의 소요 기간 중 명목 GDP 성장률은 평균 5.8%였다.

     

    룩셈부르크와 스웨덴, 독일 등은 명목 GDP 성장률이 높아서, 스위스와 뉴질랜드, 일본 등은 환율절상률이 높아서 소요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3만달러대 진입이 지연된 데는 원화가치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062015년 우리나라의 명목 GDP 성장률은 연평균 5.4%였으나 원화가치는 18.4% 하락(2006956, 20151,131)하면서 달러로 계산되는 1인당 GDP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통상 1인당 국민소득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의미하지만 1인당 GDP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GDP는 한나라 안에서 각 경제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해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생산물의 시장가격을 합한 것이고 GNI는 한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의미한다. 두 지표의 개념은 다르지만 수치상으로는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