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소득 0.65% 증가…농수산물·소비재 가격 상승세 가팔라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서민들은 소득이 크게 늘지 않는 데 반해 물가와 사교육비가 계속 오르면서 한계 상황을 맞고 있다.

    17일 통계청 가계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444만5435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전인 2015년 3분기(441만6469원)보다 불과 0.65% 늘어난 것으로 사실상 제자리다.

    근로자 2인 이상 가구를 따로 봐도, 1년새 월 소득은 486만1702원에서 494만2837원으로 1.66%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농축산물, 소비재 등 물가가 오르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커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통계(KAMIS)에 따르면 무의 평균 소매가격은 1개당 3096원으로 평년(1303원)의 2.4배(137.6%↑) 수준까지 치솟았고, 양배추도 한 포기에 5578원으로 평년(2630원)의 2.1배(112.1%↑), 1년 전(2407원)의 2.3배(131.7%↑)에 이르렀다.

    당근(1㎏ 6026원)은 평년(2692원)의 2.2배(123.8%↑)로, 1만 원(전국 최고가 9400원)에 육박했다.

    배추 역시 한 포기에 4354원으로 1년 전(2220원), 평년(2893원)보다 각각 96.1%, 50.5% 뛰었다.

    소비재들 가운데 최근 반년새 10%안팎으로 가격이 뛴 품목도 적지 않다.

    제일제면소 소면(900g)의 경우 6개월간 2천244원에서 2천833원으로 26.2% 올랐고, 농심켈로그 씨리얼 '스페셜K오리지널(480g)'도 20%(5천782원→6천960원) 뛰었다. CJ제일제당 '햇바삭김밥김' 가격 상승률도 19.7%(1천874원→2천244원)에 이르렀다.

    물가가 오르는데 서민들은 허리띠를 졸라매 학원비 등 사교육비에 더 많은 돈을 썼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전국 도시 근로자가구(2인 이상)는 한 달 평균 학원·보습교육에 22만6천576원을 지출했다.

    1년 전 2015년 3분기(21만4천492원)보다 6% 정도 늘어난 것으로, 증가율이 같은 기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1%)의 6배에 이른다. 아울러 1년간 소비자물가지수 평균 증가율(1%)의 6배이기도 하다.